노동부는 현재 국립중앙직업안정소 중심으로 구성된 고용관리전산망을
지방자치단체 및 각급 학교에까지 확대 연결하는 전국적인 "고용관리
종합전산망"을 구축하기로 했다.
17일 노동부가 마련한 취업알선 전산망 확충계획에 따르면 최근의
인력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기위해 노동시장의 정보체계 정비가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판단,내년중에 9억2천9백만원의 예산으로 시.군.구지역
86개소와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산하 14개 지방사무소등에 1백개소의
취업알선 전산망을 구축하기로 했다.
노동부는 이와함께 오는 96년까지 현재 45개소(중앙직업안정소 산하)에
불과한 취업알선 전산망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구등 6개권역
지방자치단체의 읍.면.동 3천7백77개소와 대학및 전문대 2백30개소까지
확대,지역간 노동시장 수급을 조절하기로 했다.
노동부는 이들 지역에 설치된 취업알선 단말기 주변에 해당지역 국번의
"1919"또는 "9191"전용전화를 설치,민원인들이 전화로 손쉽게 취업정보를
접할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
노동부의 이같은 방침은 최근의 직종 학력 지역간의 극심한
인력부족(6월말 현재 25만명)현상이 고용에 관한 정보부족과
중앙직업안정소 산하 취업알선기관의 기능부족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분석됐기 때문이다.
또한 인력수급의 불균형 실태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하기위해서는 2
3년내에 고용보험제의 도입이 불가피하다고 판단,이를위한 전단계 조치로
고용관리전산망의 확충이 시급하다고 노동부는 밝혔다.
이들 고용전산망이 배치된 행정기관에는 취업알선업무를 맡는
전담공무원이 배치돼 구직자와 구인자사이에 고용계약 성립을 유도하고
구인 구직자에게 각종 취업정보를 제공하며 전국의 취업알선전산망에 구인
구직자의 상세한 정보를 알려주게 된다.
노동부 관계자는 "인력난의 상당한 부분이 취업정보의 부족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전국의 일선행정기관까지 취업알선전산망이 확충될 경우
구인 구직자간의 노동시장 정보교환이 원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