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우크라이나공화국 의회는 22일 미하일 고르바초프 대통령등 소연방
지도자들의 거듭된 반대에도 불구하고 육.해.공총병력 40만여명에 달하는
독자군 창설을 승인,독립을 향한 움직임을 한층 구체화했다.
소련에서 러시아공화국에 이어 2번째로 큰 공화국인 우크라이나공화국
의회는 이날 회의에서 공화국 독자군과 경비대 창설에 관한 법률안 초안을
예비승인했다고 소련관영 타스통신이 키에프발로 보도했다.
우크라이나는 40만병력의 군외에 소연방 내무부 병력을 자체전용,2-3만
병력을 가진 공화국경비대를 창설할 계획이며 앞서 비핵 선언을 발표한적이
있음에도 불구, 당분간은 공화국 영토내에 전략핵무기들을 존치시키게
될것으로 보인다고 타스는 전했다.
통신은 의원들이 공화국 독자군이 전적으로 공화국 방위만을 위해
사용될 것 이라는 점을 강조했다고 전했으나 표결내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고르바초프 대통령등 크렘린 지도자들은 이와관련 소연방은 우크라이나
공화국을 배제한채 존속할수 없다고 강조,연방내 잔류를 촉구하고 다른
8개 공화국이 참여한 경제협력협정에 서명할 것을 요청했으며 특히 군
부측은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개별 공화국들의 독자군 창설계획에 강력히
반대해왔다.
고르바초프 대통령은 21일 최고회의 연설을 통해 각 공화국들이 소련군
기지와 병력을 "사유물화"함으로써 독자군 창설에 나서고 있다고 비난하고
이같은 "무책임 하고도 불법적인" 움직임에 대해 모종의 "헌법상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고르바초프등 소련최고 정책결정기구인 국가위원회 소속인사들은 이와
함께 우크라이나에 대해 연방내에 계속 잔류할 것과 경제협정에 서명할
것을 직접적으로 촉구했다.
소련 쿠데타 실패후인 지난 8월24일 독립을 선언,오는 12월 1일 이에관한
국민 투표를 실시할 예정인 우크라이나는 인구 5천1백만으로 러시아공화국에
이어 연방내에서 2번째로 큰 공화국으로서 강력한 농.공업 기반을 가지고
있다.
우크라이나 의회 의원들은 앞서 이달초 공화국이 일부 소화기를 제외
하고는 전혀 무장하지않고있는 것과 관련,공화국 국경방어를 위해 소련흑
해함대 일부 매입을 제의한 바 있으며 우크라이나에 주둔중인 소련군
부대중 다수가 공화국편으로 돌아설 의향을 천명한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우크라이나에는 현재 소련군 1백만-1백50만 명이 주둔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공화국은 앞서 지난주에도 공화국간 새로운 공동시장 형성을
위한 경제협정 서명을 마지막 순간에 거부,크렘린측의 소연방 유지계획에
찬물을 끼얹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