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 입시부정사건을 수사중인 서울지검 특수1부(이명재부장검사)는
8일 금년도 신입생 미등록자 결원보충때 교직원 자녀들이 순위조작
방법으로 부정입학한 사실이 드러남에 따라 9일 김용훈 전총장 등 입시
당시 관련 보직교수 5명을 소환해 구체적인 부정방법, 금품수수여부 등을
조사키로 했다.
이에 따라 검찰은 이날 김 전총장 등에게 소환조사에 응해달라는
구두통지를 보내는 한편 이들을 철야조사해 부정입학 사실이 확정되는대로
업무방해 혐의를 적용, 구속수사할 방침이다.
검찰은 그동안 교육부로부터 넘겨받은 감사자료를 토대로 지금까지
교직원 학부모 5-6명을 소환, 조사한 결과 성대측이 입시사정 직전에
교직원자녀의 지원상황을 파악, 미등록자 결원보충시 차점자 우선합격
원칙을 무시하고 순위를 조작,교직원 자녀들을 특혜입학시켰고 이들
가운데는 불합격자보다 심지어 50점이나 낮은 학생들도 포함돼 있는 것을
밝혀냈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교육부에서 부정입학한 것으로 통보한 교직원
자녀는 성적이 낮은 48명과 지망학과가 아닌 학과에 합격한 1명 등 모두
49명이지만 구체적인 부정합격생수는 현재 조사중"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또 "지금까지 조사결과 교직원 학부모들이 특혜입학의 대가로
금품을 제공한 사실은 드러나지 않았다"며 "학교측이 다른 학생들의
기부금입학 사실을 무마하기위해 이들 교직원 자녀를 부정입학시켰을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검찰은 이와함께 성대측이 91학년도 입시사정자료 제출을 계속 거부할
경우 다음주중 압수수색영장을 법원으로부터 발부받아 교내를 수색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