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전문인력 크게 부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자제시대를 맞았으나 지방자치단체의 환경관계 전문인력이 크게 부족해
환경오염 방지행정이 제대로 펼쳐질지 극히 의문시되고 있다.
환경처가 20일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15개시도의 환경관계
전문인력은 1천8백69명에 불과할뿐 아니라 지역에 따라 편차가 심하며
대전시의 경우는 보건환경연구원조차 설립되지 않고 있다.
서울시는 본청의 16명을 비롯, 1개 구청당 평균 9.1명의 환경관계
공무원이 공해배출 단속업무등 환경감시에 나서고 있으며 나머지 시도는
본청의 환경인력이 9.8명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전체의 4분의 3이 넘는 1백82개 시군구에는
환경보호계만 있고 인력도 평균 3.1명에 그치고 있다.
환경처는 시군구도 최소한 20명 가량의 환경전문인력이 필요하나
단기간에 많은 인력을 양성 배치할수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히고
최소한 계단위부서가 설치되어 있는 1백82개 시군구만이라도 과로
승격되어야 한다는 의견이다.
환경오염 방지행정이 제대로 펼쳐질지 극히 의문시되고 있다.
환경처가 20일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15개시도의 환경관계
전문인력은 1천8백69명에 불과할뿐 아니라 지역에 따라 편차가 심하며
대전시의 경우는 보건환경연구원조차 설립되지 않고 있다.
서울시는 본청의 16명을 비롯, 1개 구청당 평균 9.1명의 환경관계
공무원이 공해배출 단속업무등 환경감시에 나서고 있으며 나머지 시도는
본청의 환경인력이 9.8명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전체의 4분의 3이 넘는 1백82개 시군구에는
환경보호계만 있고 인력도 평균 3.1명에 그치고 있다.
환경처는 시군구도 최소한 20명 가량의 환경전문인력이 필요하나
단기간에 많은 인력을 양성 배치할수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히고
최소한 계단위부서가 설치되어 있는 1백82개 시군구만이라도 과로
승격되어야 한다는 의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