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무부의 당국자는 12일 북한의 핵안전협정 체결문제와 관련, "북한이
하루빨리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핵안전협정을 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 정부의 기본인식"이라면서 "북한은 오는 9월 IAEA정기
이사회까지 기다리지말고 7월중순 IAEA와 협정문안에 관한 전문가 협의가
끝나는 즉시 특별이사회에서 협정서명을 마무리지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11일 북한 진충국순회대사의 기자회견과 관련해 이같이
밝히면서 "결의안 채택문제는 기존의 입장을 그대로 견지하되 일단
북한측의 공식설명과 IAEA 사무국과의 비공식접촉 결과등을 종합 검토해
우방들과의 협의를 거쳐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진대사는 11일하오 5시(현지시각) IAEA이사회의장과 사무총장의 부탁을
받고 사무총장 특별보좌관과 만나 북한측의 공식입장을 표명해줄 것을
요청받았으나 12일 핵안전조치협정에 대한 일반 의제가 다뤄질때 자신의
입장을 개진하겠다는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미국 일본 호주등 주요 우방들은 12일밤 북한측의
공식입장을 들은뒤 결의안 채택여부를 최종 결정짓기로 했다고 이 당국자는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그러나 "IAEA차원에서 결의안보다 북한을 움직일 수 있는
효과적인 몇가지 복안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해 북한측의 공식태도
표명에 따른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음을 강력히 시사했다.
이 당국자는 "결의안 채택에 대해서는 오히려 한국보다는 미국 일본
호주등 몇몇 우방들이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