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제시한 핵안전조치에 관한 표준협정문
(핵안전협정문)의 본질적 내용에는 여하한 수정도 가하지 않은채, 그리고
주한미군핵무기철수란 전제조건없이, 오는 9월 IAEA 정기이사회에서
핵안전협정을 체결할 작정이라고 진충국 북한외교부 순회대사가 11일 말했다.
지난 7일 한스 블릭스 IAEA사무총장에게 북한의 핵안전협정가입입장을
공식 통보한 바 있는 진대사는 엔도(원등) 일국제기구대표의 대북한해
명질의에 반발, 회의장을 퇴장한지 하루만에, 그리고 블릭스총장, 젤라른
현이사회의장, 호주대사등이 10일밤부터 이날 상오까지 대북한다각접촉을
통해 북한측 입장을 재타진한 직후 한국 기자들과 가진 인터뷰에서 그같이
말했다.
진대사는 블릭스총장이 10일의 90년 연차보고서에서 밝힌 것처럼
북한은 이번 이사회에서 표준협정문을 최종 마무리 짓고 오는 7월
IAEA전문가들과의 회의를 위해 북한전문가들을 파견, 표준문안의
근본내용을 다치지 않고 "여러 해석을 내릴 수 있는 애매한 문구를 피하고
정확한 문구를 채택키 위해 약간의 문구수정"을 가한 뒤 오는 9월
IAEA정기이사회 승인을 통해 협정을 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진대사는 북한이 핵안전협정체결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워온
주한미군핵무기철수를 고집하지 않게된 이유에 대해 지난 7일의 그의 빈
방문 약 10일전에 미국무부에서 평양에 파견한 "대표단"이 핵문제에 관한
대북한협상용의를 표명한데 뒤이어 이달말께에도 미대표단이 재차 평양을
방문할 예정이어서 미국이 북한에 핵협상의사를 이미 전달한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북한이 핵안전협정에 가입할 경우 북한이 IAEA에 모든
핵시설에 대한 사항을 허용할 것이냐는 질문에 이는 엔도대표의 발언과
동일한 대북한도발적 언사라고 반발하면서도 이는 "IAEA표준문에 다
되어있으며 우리는 표준협정문 그대로 가자는 것"이라고 답변하면서 오는
7월 IAEA- 북한전문가회의가 문구수정문제로 장기화, 협정체결이 오는
92년 2월의 IAEA이사회로 넘어갈 가능성에 대해 "그럴 것으로 생각치
않으며 전문가회의도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엔도대표의 대북한질의를 국제적 상식과 예의를 벗어난
그리고 북한 주권을 무시한 무례한 행동이라고 규탄, 한국 일본 호주등이
북한측의 명백한 의사표시에도 불구, 북한에 압력을 가하려는
대북한결의안을 채택하려할 경우 북한은 I AEA표준협정문 채택은 물론
7월의 북한전문가 파견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재차 경고하면서 북한의
핵안전협정체결과 유엔가입문제는 아무런 관계도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