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소경협자금에 의해 소련에 수출될 일부 소비재품목과 물량이
재조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17일 관계당국과 무역업계에 따르면 소련측은 지난 3월 양국간에
합의돼 업종별로 물량배정까지 끝난 34개 소비재중 일부 품목과
물량을 재조정하기 위해 코프체프스키 대외경제부 아주국장을 단장으로
한 4명의 소련정부 실무대표단을 이날 한국에 파견했다.
이들은 20-23일 상공부와 마지막 협상을 벌인다.
소련 대표단이 한국측에 조정을 요청할 주요내용은 <>당초 5백만족
(6천달러상당)에 달하는 스포츠용 신발의 수입을 전면 취소하는
대신 이를 화학제품과 수리조선으로 대체하며 <>1만t(3천만달러), 5천t
(8백만달러)인 합성섬유사와 합성섬유(폴리에스테르 SF)를 2만t,
1만5천t으로 각각 늘리고 <> 전기.전자제품을 5-6개품목 확대하며
<>1천5백만달러선인 전화선을 7백만달러선으로 줄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반해 한국은 최근 축전지 생산업체인 경원전지 오산공장의
화재와 제3국으로 수출로 공급능력이 턱없이 부족해진 축전지를
1백만개에서 30만-40만개로 대폭 줄일 것을 소련측에 제의할 것으로
전해져 올해 소련측에 수출할 소비재 품목및 물량의 재조정은
불가피하며 협상에 따른 진통도 예상된다.
그러나 신발, 가전제품을 비롯한 대부분의 품목은 이미 업체별로
물량배정까지 끝나 선적을 대기중이어서 기득권을 갖고 있는
업체의 강한 반발이 예상되고 있으며 특히 소련에 수출할 물량확보로
새로운 수출오더를 따내지 않고 있는 국내 중소기업들은 올해
수출계획에 큰 차질과 피해를 받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소련이 뒤늦게 품목 및 물량재조정을 요구하고 있는 것은 스포츠용
신발을 비롯한 일부 품목은 한국상품가격이 동구산보다 비싼데다
일부 국내 재벌그룹들이 자사가 충분한 물량을 확보하고 있는
품목으로 소비재를 바꿔 줄 것을 소련측에 끈질기게 요구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도 소련은 이번 제4차 한.소 정부실무대표단회의에서 5억달러
규모의 전대차관에 의한 플랜트도입 목록도 대폭적인 조정을 요구할
계획이어서 소비재와 플랜트 수출을 위해 지난 2월이후 치열한
경합을 벌여온 국내기업들은 다시 새로운 수주전에 들어가게 될
것으로 보인다.
무역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는 소련측으로부터 이미 조정품목 및
물량을 통보 받고도 이를 공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며 "국내산업을 보호해야하는 정부측의 협상력에 기대할수 밖에
없는 실정" 이라고 말했다.
한편 상공부의 한 관계자는 "소련측의 요청이 있을 경우 국내관련
기업들과 충분한 협의를 거쳐 수용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