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상품의 교역조건은 수출단가의 소폭 하락에도 불구,
수입단가의 상승으로 지난 81년이후 9년만에 처음으로 전년보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90년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단가는 원화가 5.2% 절하됨으로써 화학품, 철강, 전기전자 등을
중심으로 전년보다 0.3% 하락했다.
그러나 수입단가는 국제원자재가격이 하락세를 보였으나 원유도입가격이
전년보다 27.3%나 폭등함에 따라 0.4% 올랐다.
이에 따라 수출단가지수를 수입단가지수로 나눈 순상품교역조건은 전년
보다 0.7% 악화됐는데 이는 상품 1단위를 수출하여 수입할 수 있는 수량이
0.7% 감소하여 수출업체의 채산성을 악화시켰다는 것을 뜻한다.
순상품교역조건은 지난 81년 2.0% 감소한 이후 계속 증가세를 보였으며
89년에는 7.6%가 증가했다.
한편 지난해 수출물량은 신발류(15.5%), 기계류(7.3%), 화학제품
(37.4%) 등을 중심으로 전년보다 4.4% 증가했으며 수입물량은 13.2%가
늘어났다.
한은은 지난해 무역수지가 통관기준으로 48억2천8백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함으로써 전년의 9억1천2백만달러 흑자에 비해 57억4천만달러나
악화된 셈인데 이를 요인별로 보면 가격요인이 4억7천4백만달러에 불과한
반면 물량요인이 52억6천6백만달러로 대부분을 차지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