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5일 시내버스가 주말인 27일부터 전면 또는 일부파업에
돌입할 것에 대비,지하철 수송력을 극대화하고 예비군 버스등 대체버스를
대량 투입 하는 것등을 내용으로 하는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다.
서울시는 비상수송대책을 펴면 버스가 전면 파업에 들어가도 출퇴근
시간대에는 3백80만명의 평일 버스 수송 수요를 모두 충족시킬수 있으며
전일 기준으로는 수송 수요 9백43만명중 71%인 4백77만명에 대한 대체
수송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해원시장은 이날 하오 3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본청 간부,22개
구청장,김원환 시경국장,일선 경찰서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비상대책회의에서 파업의 정도에 따라 부족 수송수단을 즉각 메울
수 있는 분량의 대체 교통수단을 동원하는등 탄력적으로 대처해 나가라고
지시했다.
이시장은 또 시내버스 파업결정이 쟁의발생 신고등 정당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내려진 불법행위라고 지적하고 파업에 들어 가는 경우
불법파업을 주도한 노조간부 등을 형사처벌할 것을 강조했다.
이시장은 이어 일선 구청단위로 회사별 버스노조와 접촉,파업의
불법성을 설명하고 버스업체에 대해서도 노사간 대화를 권장하는등
주말이전에 노사간 합의를 통해 파업을 풀도록 최선을 다하라고 22개
구청장에게 당부했다.
비상수송대책에 따르면 지하철 러시아워 운행시간대를 연장하고 이밖의
시간대에도 운행간격을 좁혀 운행함으로써 지하철 이용을 극대화하며
개인택시 부제해제, 개인소유 및 예비군.군용버스등 동원이 가능한 여타
교통수단을 모두 가동하는 것으로 돼 있다.
서울시가 총 90개회사의 버스 8천5백73대가 모두 파업에 들어가는
경우에 대비해 마련한 비상 수송대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하철>
지하철공사는 러시아워 시간대를 평소 상오 7시-9시에서
10시30분까지로,하오에는 6시-8시에서 밤9시까지로 모두 2시간30분을
늘리고 평시 시간대에도 평소 5분간격인 2.4호선 운행을 4.5분으로,6분인
3호선은 5.5분으로 단축,지하철로 몰리는 교통수요를 흡수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전면파업이 빚어지면 러시아워때 승차율이 현재의 최고
2백70%에서 2백90%수준까지 치솟을 것으로 보고 지하철 질서유지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2천명의 시공무원과 경찰을 역무 인력으로 각
역사에 배치할 계획이다.
<대체버스 투입>
예비군 버스 2백대,전세버스 78대,군용버스 50대,시청버스 20대등 총
3백48대의 버스를 주요 노선에 투입하고 1천4백여대의 직장버스를
일반시민이 이용할수 있도록 해당 직장에 협조를 요청키로 했다.
서울시는 시내버스 파업이 주말을 넘겨 장기화 될 경우 인천,성남등
수도권의 버스를 일부 지원받아 수송분담률 38.3%를 차지하는 서울의
시내버스 파업에 적극 대처해 나가기로 했다.
이밖에 마을버스를 연장 운행하고 운행횟수도 최대한으로 늘리는 한편
자가용 승용차의 함께타기 운동등을 실시키로 했다.
<개인택시 부제해제및 택시 합승 허용>
파업기간중 1만1천대의 개인택시 부제운행을 전면 해제하고 회사
택시를 포함 5 만2천대의 택시에 합승을 공식 허용,대당 수송 인원을 하루
평균 84명에서 1백명이상으로 높이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