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유럽국가들이 국내시장보호를 위한 직간접수입규제조치를 잇따라
내놓고 있어 올해 우리기업들의 대동구수출전략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27일 무역진흥공사에 따르면 유고슬라비아 헝가리 폴란드등 주요 동유럽
국가들은 GSP(일반특헤관세) 적용대상범위의 축소와 섬유 전자등 주요
품목들에 대한 사전 승인제도를 도입하는등 수입규제조치를 부쩍 강화하고
있다.
유고슬라비아정부는 지난 25일 관보를 통해 직물 의류등 섬유류의
수입을 수입자유화품목에서 사전 승인품목으로 바꾸고 자동차의 경우도
한국 일본등으로부터의 수입은 사전승인을 받도록 하는 내용의 규제
조치를 마련, 이날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유고정부는 이에앞서 지난해 9월에는 컬러TV의 사전수입승인조치를
도입했었다.
유고정부가 이처럼 자국시장의 빗장을 걸어잠그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한때 2천7백%까지 치솟았던 인플레의 퇴치를 겨냥, 89년부터 물가
안정을 노린 전면 수입자유화조치를 취한 결과 외국상품의 급격한
유입으로 자국업계의 반발이 커지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에앞서 헝가리정부도 지난달 신발 섬유 잡화류등에 대한 사전수입
할당(쿼터)제도를 도입, 우리기업들의 수출에 제약이 가해졌고 폴란드
정부도 지난해까지 우리나라 상품에 부여해온 GSP특혜를 올해부터
철회하는등 주요 동구교역상대국들의 수입규제조치가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