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체의 대부분이 걸프전쟁의 영향으로 경영여건이 악화되고
있어 물가 안정을통한 원가절감, 자금지원 확대, 수출지원제도 확대 등
정부 지원시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25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김상하)가 서울지역 5백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기업활동의 당면애로 및 해소대책"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 업체의 91.3%가 걸프전쟁으로 경영여건이 이미 악화되었거나
악화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업종을 불문하고 호전되고 있다고 응답한
업체는 하나도 없었다.
경영악화의 주된 내용은 28.5%가 제조원가 상승을, 23.6%는 수출부진,
14.1%는 내수부진, 12.1%는 자금사정 악화, 10.6%는 원자재 확보난, 5.8%는
수송코스트 상승을 각각 꼽았다.
또 이들 조사대상 업체는 걸프전쟁과 관련한 정부의 지원시책중 가장
절실한것으로 34.3%가 물가안정을 통한 원가절감 지원을 들었고 18.8%가
자금지원 확대, 17.3%가 수출지원제도 확대, 11.8%가 에너지절약시설 투자,
신기술 및 제품개발에 대한 금융.세제상 지원을 각각 요망했다.
한편 걸프전쟁이 끝난 후의 경영여건은 전체 조사대상업체의 절반이
호전될 것으로, 35%가 현재와 비슷하거나 예상이 곤란하다고 응답한 반면
현재보다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는 기업은 15%에 불과해 현재 이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만 극복하면 전후의 경영여건은 오히려 나아질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따라서 걸프전쟁이 국내 제조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산업용 유류가격의 인상억제, 석유화학 관련 원.부자재의 수급 및
가격안정등 일관성있는 국내유가정책 실시와 함께 직접 피해를 입고 있는
중동지역 수출업체의 자금압박을 완화해 주기 위한 긴급자금지원 및
무역금융융자기간의 연장(현행 90일에서 1백20일까지) 등 한시적 지원대책이
시급하다고 이 보고서는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