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재단이 창립 첫해인 지난78년부터 89년말까지인 지난78년
부터 89년말까지 지원한 기초연구비는 모두 9천3백29건 5백94억4천5백
84만5천원으로 집계됐다.
과학재단이 최근 펴낸 "기초연구지원통계집"에 따르면 지난 78년
1백69건 3억7천4백69만2천원이었던 연구비 지원액이 89년엔 1천5백
47건 1백75억7천4백86만9천원으로 46.9배가 증가됐다.
지원재원의 구성비를 보면 84년엔 기금과실 58%, 특정 연구개발비
26%, 세계은행차관 16% 였던것이 89년엔 기금과실(6%)과 세계은행차관
(0%)은 크게 줄었으나 특정연구개발비가 전체의 94%를 차지했다.
또 그룹을 대상으로 한 지원현황은 86년에 전자 정보 통신
17%, 정밀화학 고분자 특수공정 16%, 기계 신소재 에너지 자원분야가
각15%, 생명공학 13%, 공공복지 10%였으나 89년엔 정밀화학 고분자
특수공정 16%, 전자 정보 통신분야와 신소재분야가 각 15%, 생명
공학과 공공 복지가 각14%, 에너지 자원이 13%, 기계 12%등으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개인에게 지원된 일반기초 연구비는 89년의 경우 농수산이 1백48건
6억2천7백52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생물과학 1백30건 5억7천4백74만원,
화학 1백1건 4억3천8백90만원, 물리학 90건 3억8천9백75만원, 기계
공학 95건 3억7천7백40만원, 전자공학 75건 3억3백10만원, 화학공학
66건2억8천4백90만원, 토목공학 60건2억5천7백40만원, 재료공학 55건
2억4천8백93만원, 지구과학 50건 2억9백45만원등의 순이었다.
한편 우리와 협력각서를 체결한 상대국과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국제공동연구비는 78년 4건 1천3백47만2천원에서 89년엔 57건 3억8천4백
9만원으로 28.5% 늘어났으며 분야별로는 물리학(12건6천6백15만원)과
생물과학(8건 5천5백24만원)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