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82년부터 신기술개발전략의 하나로 추진해 온 특정연구개
발사업의 성과가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7일 과기처에 따르면 지난82년부터 88년10월말까지 정부에서 2,590억원,
민간에서 1,800억원등 모두 4,390억원을 투입, 3,110개 과제를 수행한 결
과 이가운데 5.6%에 불과한 170건만이 기업화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기업화를 통해 정부출연기관등 연구기관들은 지난 83년 2,000만
원을 포함, 지금까지 겨우 16억2,000만원의 기술료를 거둬들인 것으로 집
계됐다.
연구과제수행을 통해 연구기관들은 같은기간동안 국내 41건, 국외 27건
등 68건의 특허를 비롯, 실용신안 의장5건등 모두73건의 공업소유권을 획
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이 7년여동안에 걸쳐 업청난 규모의 연구비를 투입했음에도 불구하
고 그성과가 부진한 것은 기업화 사례가 크게 부족할뿐 아니라 그나마 기
업화됐다 하더라도 경제성이 낮기때문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연구개발과제의 선정심의및 평가를 위한 전문위원회가 전문성부족
등으로 인해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기때문으로 지적되고있
다.
특히 주요사업의 수행실적및 운영실적보고등 간접적인 평가만으로 과제
를 수행할 연구기관을 선정하는등 연구기관의 능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
한 것도 주요원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기업부문 45개, 중소기업부문 17개, 간접 및 서비스부문 13개조등 총
75개 분임조가 참가하여 9일까지 3일간 품질관리능력을 겨룬다.
박청장은 이날대회에서 치사를 통해 "선진공업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
는 전사적 품질관리운동을 범산업적으로 전개, 상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생산성을 극대해 나가야 한다"고 말하고 "전국 110만 분임조요원들은 품
질관리에 전력을 다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