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이라크종전복구사업에 따른 사업설비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
데 국내설비업체들의 이지역진출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와관련, 한국기계공업진흥회(회장 곽정현)와 관련업계는 최근 이란/
이라크지역산업설비진출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정부및 관련단체들도 이 지
역에 대한 공동심사팀을 파견하는등 협조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8일 기공진과 관련업계가 마련한 ''종전대이란/이라크 산업설비진출방안"
에 따르면 이들 두나라의 전후복구수요총액은 이란 900억달러,이라크 600
억달러로 모두 1,500억달러로 추정되며 이가운데 국내업들이 우선 참여할
수 있는 수출가능플랜트는 32개설비 7억2,400만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분
석됐다.
특히 우리업체가 참여할 유망발주설비는 석유관련설비/항만설비/철구조
물(1순위), 석유화학/공업용수개발/발전소/송배전/시멘트/상하수도설비
(2순위), LPG설비/철도시설(3순위)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현대 대우 삼성중공업과 럭키금성 현대종합상사 선경등은 대
형산업설비수출을 위해 인력을 보강하는 한편 수출가능플랜트에 대한 구
체적인 자료조사에 나섰다.
이들 기업의 수출가능한 플랜트설비는 이란지역이 2억달러규모의 석유
화학 정유플랜트, 7,000만달러의 제철설비등 19개설비 4억8,450만달러규
모이며 이라크지역 역시 1억달러정도의 석유화학정유플랜트, 1,000만달러
의 석유화학정유플랜트, 1,000만달러의 항만설비등 13개설비 1억3,950만
달러등 모두 32개설비에 7억2,400만달러에 달할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산업설비수출업체들은 이에따라 기공진을 중심으로 이란/이라크산
업설비수출촉진대책반을 구성, 수주정보를 교환하고 수주질서유지와 애로
사항등에 공동대처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함께 건설공기단축가능설비 및 가격경쟁력있는 설비개발등 우리업
체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국제금융시장활용, 유망수주국과의 컨소시
엄형성, 하청수주등의 진출확대방안도 아울러 모색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