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확품종으로 주곡자립에 크게 기여했던 통일벼선호도가 낮아짐에
따라 재배면적이 해마다 줄어들고 있는 반면 일반벼재배면적이 상대적으
로 늘어나고 있다.
1일 농림수산부에 따르면 80년대 이전만 하더라도 농가에서 통일계 품
종을 선호, 지난78년 75.6%를 최고로 매년 60%이상 재배해 왔으나 80년
부터 통일벼와 일반벼가 49.5대 50.5로 비슷한 수준을 보이다 81년 26.5
대 73.5, 82년 34.3대 65.7, 84년 30.0대 70.0, 85년 27.8대 72.2, 86년
22.1대 77.9, 87년 19.6대 80.4등으로 해마다 통일벼 재배면적이 격감,
올해 다시 재배면적 125만5,000석가운데 통일벼는 17.5%, 일반벼는 82.5
%를 차지하는 격차를 보였다.
이에따라 통일벼 생산량도 크게 떨어져 78년 451만6,000섬으로 일반벼
12만6,300섬보다 무려 325만3,000섬이 많았으나 80년부터 통일벼 173만
3,000섬(일반벼 179만7,000섬)으로 비슷한 수준을 보이다 81년 140만
3,000섬(363만6,000섬), 82년 189만1,000섬(326만섬), 83년 202만3,000
섬(336만5,000섬), 84년 184만2,000섬(382만9,000섬), 85년 172만9,000
섬(389만섬), 86년 128만6,000섬(431만5,000섬), 87년 112만8,000섬
(435만9,000섬)등으로 해마다 생산량이 떨어지는 반면 일반벼의 생산량
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