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부사장 "AI 안전성과 윤리가 기업 성공의 열쇠"

크리스티나 몽고메리 IBM 부사장 인터뷰

윤리적 AI 개발을 위한 개방형 접근 방식 강조
'서울 AI 기업 서약' 참여…국내외 기업과 협력
'왓슨x'로 AI 거버넌스 강화 지원
크리스티나 몽고메리 IBM 부사장이 서울 여의도 IBM 코리아 본사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윤리적인 인공지능(AI) 개발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IBM제공
“안전성과 책임, 윤리의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신뢰를 얻는 기업의 인공지능(AI) 기술만이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입니다.”

크리스티나 몽고메리 IBM 부사장 겸 최고 개인정보보호 및 신뢰 책임자(CPTO)는 23일 서울 여의도 한국IBM 본사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그는 윤리적 차원을 넘어 사업 성장을 위해서도 기업이 AI 윤리를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몽고메리 부사장은 “AI의 진정한 발전 평가 척도는 기술 이상의 것”이라며 “AI가 우리의 과제를 해결하고 소수 특권층이 아닌 사회 전체가 누리도록 활용하는 것을 평가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몽고메리 부사장은 지난 21~22일 진행된 ‘AI 서울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한국을 방문했다. 그는 22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진행된 ‘서울 AI 기업 서약’ 발표에 참여했다. 이 서약에는 IBM, 구글,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해외 기업을 비롯해 네이버, 카카오, 삼성전자, SK텔레콤, KT 등의 국내 기업까지 총 14곳이 동참했다. 서약은 윤리적인 AI 연구와 개발도상국 및 사회적 약자를 위한 AI 개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몽고메리 부사장은 IBM이 AI 윤리 분야의 선두 주자라고 강조했다. 그는 “IBM의 AI 윤리 이사회는 업계 최초로 AI 윤리와 지배구조를 다룬 위원회”라며 “IBM은 AI 기술 개발 초기부터 안전성과 윤리에 우선순위를 뒀다”고 설명했다. 몽고메리 부사장은 약 5년간 IBM AI 윤리 이사회의 의장을 맡고 있다.IBM은 윤리적인 AI 개발을 위해 개방형(오픈소스) 방식을 채택했다. 몽고메리 부사장은 “오픈소스 방식은 광범위한 이해관계자가 AI 모델의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IBM은 AI 연구 초기부터 오픈소스 방식을 활용해 자체 개발한 AI 안전 개발 툴킷을 개방형 공동체와 공유하고 있다. 지난 21일 진행된 ‘싱크’ 콘퍼런스에서는 자사의 대규모언어모델(LLM)인 ‘그래니트’를 개방형으로 공개하기도 했다.

몽고메리 부사장은 기업 이용자들의 AI 지배구조 확립을 위해 ‘왓슨x’도 제공 중이다. 작년 5월 나온 생성형 AI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같은 해 12월에는 조직의 AI 활동을 감독·관리할 수 있는 ‘왓슨x.거버넌스’를 출시했다. 그는 “유럽에서 AI 법안을 도입하는 등 AI 지배구조가 중요해지고 있다”며 “규제 요건 충족을 위한 기술적 역량을 지원하기 위해 이런 제품을 시장에 내놨다”고 말했다.

IBM은 윤리적인 AI 개발을 위해 다른 기업들과 힘을 모으고 있다. 지난해 80개 이상 기업들과 AI 얼라이언스를 발족했다. 개방적이고 안전한 AI 개발이 목표다. 한국에선 카카오가 지난달 참여했다. 몽고메리 부사장은 “카카오가 합류하면서 한국어 관련 AI 알고리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카카오를 시작으로 더 많은 기업이 참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황동진 기자 radhwa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