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자들이 급증하는데 손놓고들 있으니 미쳐버리겠네


(You Don't Have to Be Mad to Work Here)

[홍순철의 글로벌 북 트렌드]

英 NHS 정신과 의사의 좌충우돌 고군분투기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인식 개선 촉구하며
영국 NHS 의료 체제의 허점 날카롭게 비판
Getty Images Bank
영국은 NHS(National Health Service) 라는 공공의료 제도를 운용하면서 한때 ‘의료 천국’이라는 소리를 들었다. 영국 국민과 거주자에게 무료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NHS는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이면서, 동시에 지역 간 건강 격차를 줄여주는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최근 NHS는 자금 부족, 인력 부족, 노후한 인프라로 심각한 위기를 맞이했다. NHS 파산 위기라는 말이 심심치 않게 들려오는가 하면, 수술을 위해 최소 1년 이상 기다려야 하면서 국민 불만도 높아지고 있다. 이런 분위기 가운데 최근 한 정신과 전문의가 쓴 책이 베스트셀러에 오르면서, NHS에 대한 성찰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심각하지 않고 오히려 감동적이고 유머러스하게 쓰였는데, 잘못된 의료 체계에 대해 제대로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느낌이다. <여기서 일하기 위해 당신도 미칠 필요는 없습니다(You Don't Have to Be Mad to Work Here)>. 책의 제목부터 재치가 넘친다. 에든버러 축제에서 스탠드업 코미디언 수상 경력도 있는 벤지 워터하우스(Benji Waterhouse)는 NHS 정신과 전문의로서 의료 최전선에서 좌충우돌하며 고군분투하는 이야기를 소개한다. 의학계에서 가장 신비하면서도 논란이 많은 분야인 정신과에서 생겨나는 흥미진진한 사례가 이어진다.

정신이 온전한 사람이라면 왜 정신과 의사가 되려고 할까? 엉망진창으로 복잡하게 얽힌 삶에 대한 해결책이 정말 의학 교과서 안에 있을까? 의료진, 병상, 치료법이 부족한 상황에서 환자들이 어떻게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을까? 책에는 ‘청진기를 든 사회복지사’라는 오명을 듣는 정신과 전문의로서의 고단한 삶이 그려진다.
자신이 예수라고 생각하며 물 위를 걷다가 수영장에 빠져 익사할뻔한 환자, 영국의 유명 가수와 결혼하기 위해 신부 드레스를 입고 스스로 병원을 찾아온 환자, 자신이 입원한 정신과 병동이 TV 세트장이라고 생각하는 환자,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가 있다고 믿는 조현병 환자, 그리고 의사라는 직업을 숨기는 우울증 환자 등 책에는 정신과 병동에서 만난 다양한 사람들이 등장한다.그들은 특별한 사람이 아니라 아주 평범한 사람들이다. 정신 질환은 우리 주변에 너무 흔하게 확산해있다. “통계적으로 영국인 4명 가운데 1명은 어느 시점에서든 정신 건강 문제를 경험합니다. 정신 질환은 국가 전체 질병 부담의 28%를 차지하지만, NHS 자금의 13%만 지원받고 있습니다. 정신 건강 지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정신 병상 수는 1988년 6만7000개에서 2019년 1만8000개로 줄어들었습니다.”

조현병 환자는 폭력의 가해자가 아니라 오히려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더 크다. 한 번에 구입할 수 있는 파라세타몰의 개수를 제한하면 자살을 줄일 수 있다는 건강 상식은 잘못됐다. 책은 정신 건강에 대한 올바른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저자가 가장 지적하고 싶은 부분은 정신 건강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위한 연구나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영국 의료 체제의 허점’이다.

정신의학을 전공한 의사가 쓴 씁쓸하면서도 달콤한 회고록을 통해 독자들은 언제 닥칠지 모르는 정신 건강의 위험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바꿔야 할지 구체적으로 깨닫고 있다.

홍순철 BC에이전시 대표·북칼럼니스트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