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앞에 드러나는 인간의 민낯…쓴웃음이 난다

더 에이트 쇼

8층 건물에 모인 8명의 참가자
고층에 살수록 부자 되는 게임
경쾌하지만 허망한 블랙코미디
넷플릭스 드라마 ‘더 에이트 쇼’에 출연한 이주영(왼쪽)과 천우희. 넷플릭스 제공
‘당신의 시간을 사겠습니다.’

돈도 희망도 없는 진수(류준열 분)가 한강 다리에서 투신하려는 순간, 발신자 불명의 메시지가 도착한다. 거액이 입금된 것을 확인하고 진수는 비밀의 8층짜리 건물 3층에 머물게 된다. 이곳에서 시간을 보내면 돈이 쌓인다. 진수는 1분에 3만원, 1시간이면 180만원이 돌아온다는 사실에 환호한다. 하지만 층수가 높을수록 받는 돈이 많아져 8층 여자(천우희 분)가 1분에 34만원, 1시간에 2040만원을 번다는 사실은 아직 모른다.지난 17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8부작 드라마 ‘더 에이트 쇼’는 미지의 공간에 모인 8명의 이야기다. ‘더 킹’과 ‘비상선언’을 연출한 한재림 감독의 드라마 데뷔작이다. 원작은 배진수 작가의 웹툰 ‘머니게임’과 ‘파이게임’이다.

격리된 공간, 낯선 참가자들, 전광판에 찍히는 상금. 드라마의 도입부는 넷플릭스의 히트작 ‘오징어 게임’을 떠올리게 한다. ‘더 에이트 쇼’의 흥미로운 지점은 돈의 축적과 소비에 있다. 고층일수록 돈이 빠르게 쌓이면서 집이 넓어지고 체감 물가는 떨어진다.

꼭대기 층에 입주한 철없는 여자는 마음껏 돈을 쓰며 상황을 즐기고 식량 배분권까지 손에 쥔다. 반면 다리가 불편한 1층 남자(배성우)는 자신의 방을 내놓는다. ‘더 에이트 쇼’의 등장인물들은 누구 하나만 죽어도 쇼가 끝난다는 룰에 따라 눈치 게임을 벌이고 다른 이와 거래하며 거침없이 협력과 배신을 오간다.드라마는 참가자들의 서사를 거창하게 풀어놓지 않는다. 각 회에 한 명씩, 도입부와 오프닝 타이틀을 장식하는 정도여서 지루하지 않다.

하지만 서사가 생략되다 보니 시청자들이 마음을 줄 인물이 많지 않다. 다채로운 캐릭터에서 오는 두뇌 싸움의 쾌감, 스릴도 자연스레 부족해진다. 그도 그럴 것이 ‘더 에이트 쇼’는 인간의 민낯을 쓴웃음 속에 보여주는 블랙코미디에 가깝기 때문이다.

얄팍해진 캐릭터가 선택하는 것은 결국 폭력이다. 다소 지리멸렬한 격투와 무의미한 린치가 중후반을 채우기 시작한다. ‘오징어 게임’의 주요 인물들이 손에 피를 묻힐 때마다 인간의 다양한 이면을 드러내며 입체성을 획득한 것과는 다르다.‘더 에이트 쇼’의 결말이 의외성을 보여주기 힘들었던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신파 없이 담백하게 풀어간 결말에 대해선 호불호가 갈린다. 힘 있는 반전이나 카타르시스를 원하는 시청자들에겐 다소 불만족스러울 수 있다. 돈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갈수록 하찮아지는 인간 군상을 담으려는 시도는 가치가 있다. 하지만 그 결과물이 가치 있는가. 답하기 쉽지 않다.

김유미 아르떼 객원기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