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활동은 지구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 '저탄소 미술관'이 뜬다

[arte] 서진석의 아트 앤 더 시티
(c)pixabay
유물론적 관점에서 예술의 창작, 매개, 향유 활동은 지구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엉뚱하지만 기후변화,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세계 공통의 이슈로 부상한 지금 한 번쯤 던져볼 만한 질문이다. 솔직하게 말해서 예술계에서 이뤄지는 자원낭비와 환경파괴 문제에 대해 예술 기획자인 필자도 그리 심각하게 인식하지 않았다. 위대한 예술을 위해 사용 가능한 자원을 쓰는 건 당연하다고 여겼으니까.

일본의 비평가 후미히코 스미토모는 예술 전시 하나가 성공적으로 이뤄지기까지 수많은 지구자원이 낭비된다고 비판하였다. 일회성 전시 공간을 조성하느라 적잖은 목재와 철재가 사용되고, 홍보를 위해 많은 종이 리플릿과 도록을 제작하고, 커튼, 전선, 플라스틱 등 공간 조성과 연출을 위해 많은 자재가 사용된다. 그리고 이 모든 자재는 전시가 끝나면 바로 폐기 처분된다. 지구자원이 일회용으로 소비되는 전시가 이 순간에도 전 세계 곳곳에서 수천만 건이 열리고 있고 근대 이후 약 150여 년 동안 이런 낭비적 반복과정은 활발하게 이어져 왔다.
식량과 환경을 고려할 때 지구가 수용할 수 있는 인류는 약 80억 명이란 인구학자의 주장이 있다. 그 수를 넘으면 가이아의 지구가 지금의 균형을 유지하기 힘들어진다고 경고하였다. 이미 지구의 인구는 80억 명을 넘어섰다. 실제로 자연 농경이나 가축 사육으로 인간이 필요한 수요를 맞추기 어렵게 된 지 오래다. 과도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공장형 동물 사육과 기업형 질소비료 농경이 일반화 되었고, 유전자 조작이나 생장 촉진 호르몬 주입 등 식량생산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영화 <매트릭스2> (c)네이버영화
영화 <매트릭스>에서 지구를 지배하는 인공지능 기계의 파편 ‘스미스 요원’은 인간 측 지도자 ‘모피어스’에 속삭인다. “내가 연구해보니 너희는 포유류가 아니었어. 지구상의 모든 포유류는 본능적으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데 인간은 안 그래, 한 지역에서 번식하며 모든 자원을 소모해버리지, 너희의 유일한 생존방식은 또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거지, 이 지구에 똑같은 생존방식을 따르는 유기체가 또 하나 있어 그게 뭔지 아나? 바이러스야! 인간이란 존재는 지구의 질병이야.”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예술 전시를 위한 자원 소비를 투자 개념으로 환산한다. 예술 활동을 경제적 논리로 바라보는 것이다. 전시 티켓 판매, 작품 가격상승, 심지어 경제적 위계 계급 안에서의 자존감 부여 및 획득 등, 자원을 소비함으로써 얻는 부가가치가 주요한 관심사다. 예술이 위대하다지만 한순간을 위해 사용하고 폐기하는 지구자원 사용이 인류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을까?
최근 미술계에 ‘저탄소 미술관’이란 용어가 떠오르고 있다. 실제로 지구환경 보호를 위해 전 세계 갤러리들 모여 GCC라는 NGO 협의체도 조직하였다. 환경, 나아가 가이아 지구와의 공생이란 테마가 미술계의 한 조류로 부상하고 있다.

작품을 전시하는 데 그리 많은 장식과 화장이 필요할까? 자신의 세계를 세상과 소통하는 데 작품 이외의 자원이 굳이 필요할까? 굳이 작품이 값비싸게 팔리지 않더라도, 몇십만 관람객들이 줄을 서서 기다리지 않더라도 우리가 예술의 진정한 가치를 다시금 생각하고 활동을 한다면 그것만으로도 지구환경에 이바지하는 조그만 발걸음의 시작이 될 것이라고 필자는 믿는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