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일부 병원서 전공의 꽤 복귀 중…'진료 유지명령' 적법" [종합]

"정확한 통계 집계는 어려운 상황"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인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이 2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을 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오는 29일까지 업무에 복귀하라는 정부의 최후통첩에도 전공의들은 여전히 1만명 가까이 사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일부 병원에서는 전공의들이 꽤 복귀하고 있는 것으로 정부는 파악했다.

27일 보건복지부는 주요 99개 수련병원을 점검한 결과 사직서 제출자는 소속 전공의의 약 80.6% 수준인 9909명이었다고 밝혔다. 이들의 사직서는 모두 수리되지 않는 상황이다. 근무지 이탈자는 소속 전공의의 약 72.7%인 8939명 수준이다.이날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복귀 사실을 확인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를 집계하기가 어렵다"면서도 "일부 병원에서는 전공의들이 꽤 복귀하고 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앞서 전날 정부는 근무지를 이탈한 전공의에게 이달 29일까지 복귀할 경우 책임을 묻지 않겠다고 밝혔다.

또 각 병원에 '진료 유지명령'도 발령했다. 정당한 사유없이 수련병원과 계약을 갱신하지 않거나, 수련병원 레지던트 과정에 합격했는데도 계약을 포기하는 방법으로 진료를 중단하는 행위 등을 금지하려는 목적이다.박 차관은 "전공의들의 사직이 헌법상 기본권인 직업 선택의 자유에 따른 것이라고 하지만, 공익이나 사회질서 유지를 위해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제한이 가능하다"며 "현행 의료법 체계에서 충분히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것으로 법률 검토를 마쳤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전공의들의 집단 이탈로 병원의 '의료 공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집단행동 이후 상급종합병원의 신규환자 입원은 24%, 수술은 상급종합병원 15곳 기준으로 50%가량 줄었다. 정부는 이들이 모두 중등증(중증과 경증 중간 정도) 또는 경증 환자라고 설명했다.

박 차관은 "평상시 상급종합병원의 환자 구성이 55%는 중증 환자, 45%는 중등증 또는 경증 환자"라며 "최근 상급종합병원 외래 진료량 감소 폭이 2.5%로 미미한 점을 감안하면 중증 환자를 진료할 여력이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성진우 한경닷컴 기자 politpeter@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