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출 청소년 자립 돕는 정부 앱, 20개월째 업데이트 안돼 '방치'

청소년 등 수천명 이용하는 '자립해냄'…여가부, 각종 오류 인지 못해
가출 청소년 등에게 입소 가능한 쉼터를 안내하고 자립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오류 등 각종 문제가 장기간 발생해왔지만, 이를 관리하는 여성가족부 등은 사실상 손을 놓고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여가부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에 따르면 2021년 말 출시된 '자립해냄' 앱에는 학교 밖 청소년과 가출 청소년 등에게 현재 위치에 기반해 주변 쉼터의 정보를 제공하고, 입소 가능 여부를 안내하는 기능이 담겼다.

직업 준비, 주거 관리, 근로계약서 작성법 등 자립과 생활에 필요한 정보도 제공하며, 필요한 경우 온라인 채팅 등으로 전문가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자립에 성공한 가정 밖 청소년의 경험담을 볼 수 있는 '멘토멘티 게시판'도 마련됐다. 출시 반년 만에 청소년 3천290명이 사용할 정도로 반응도 좋았고, 이후로도 이용자가 꾸준히 증가해 5천회가 넘는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그러나 2022년 5월 11일을 마지막으로 앱 업데이트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통상 적어도 두세달에 한 번씩 정기 업데이트를 통해 UX(사용자 경험)·UI(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고, 신규 서비스를 추가해 앱 기능의 안정화를 유지하는데 이런 작업이 20개월째 진행되지 않은 것이다. 이 때문에 소셜미디어(SNS)를 중심으로 해당 서비스의 각종 오류를 지적하는 글이 다수 올라온 상태다.

구체적으로는 ▲ 쉼터를 이용하기 위해 검색을 했는데 해당 지역에 있는 쉼터 정보가 나오지 않았고 ▲ 화면이 아예 뜨지 않고 ▲ 오랜 시간 로딩되면서 메뉴가 노출되지 않았다는 등의 내용이다.

한 이용자는 자신의 블로그에 "좋은 취지로 마련돼 유용한 내용이 실린 앱인 '자립해냄'이 다운받을 수 없는 상태가 됐다"며 "공공기관 앱이 1년 반 만에 사라지는 것을 처음 봤다"고 썼다. 실제로 해당 앱을 내려받기 위해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접속하면 '이 앱은 이전 버전의 안드로이드를 위해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현 기기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문구가 뜬다.
앱 개발과 운영을 담당한 여가부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은 이러한 사실을 확인하지 못했을뿐더러 큰 문제는 아니라는 반응이다.

여가부 관계자는 "앱 설치 등의 문제가 있다는 걸 인지해야 했는데 그 부분까지 체크하지 못해서 죄송하다"며 "업데이트가 장기간 되지 않는 부분도 면밀히 챙겨나가겠다"고 해명했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관계자는 "최근까지도 기능 개선을 해왔고, 웹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라 매번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다"면서도 "지난해 8월에 구글로부터 앱 가동을 위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전달받은 건 사실"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류 및 업데이트 작업을 마치고 나면 앞으로 1∼2주 안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