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안 팔려"…'블프' 낀 성수기에도 역부족

글로벌 경기침체로 TV 시장 수요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올해 글로벌 TV 출하량을 작년보다 2.1% 감소한 1억9천700만대로 예상했다.특히 블랙프라이데이 등이 있어 전통적인 TV 성수기로 불리는 4분기 출하량 전망치는 5천455만대로 작년 4분기보다 1.7% 줄어든 수준으로 나왔다. 이는 거의 10년 만에 최저치라고 트렌드포스는 설명했다.

올해 세계 TV 시장 1위 삼성전자의 TV 출하량은 작년보다 9.8% 감소한 3천630만대, LG전자의 TV 출하량은 7.4% 감소한 2천291만대로 각각 추산됐다.

트렌드포스는 내년 TV 수요도 불투명하다고 진단했다. 다만 파리 올림픽과 유로 2024 등에 힘입어 전 세계 TV 출하량이 올해보다는 소폭(0.2%)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트렌드포스는 "팬데믹 완화 이후 2022년과 2023년 모두 4분기 TV 출하량이 눈에 띄게 감소했다"며 "이는 소비자 습관 변화와 경제적 불확실성이 출하량 성장을 제한하는 가운데 TV 수요가 조기에 고갈됐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올해 유럽과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하락에도 고금리 환경이 소비자 예산을 제한하고, 중국 부동산 버블도 TV 수요를 억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TV 수요가 지지부진한 가운데 LG전자에서 TV 사업을 하는 HE사업본부는 올해 4분기에 적자로 돌아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번 4분기에 적자로 전환하면 작년 2분기부터 3개 분기 연속 적자를 낸 이후 1년 만이다.증권가에서 대신증권(영업손실 1천50억원), 키움증권(영업손실 242억원), SK증권(영업손실 170억원), BNK투자증권(영업손실 130억원) 등이 LG전자 HE사업본부의 4분기 적자를 예상했다.

박강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LG전자의 4분기 TV 사업 실적에 대해 "프리미엄 제품 판매 약화와 경쟁 심화로 마케팅 비용이 예상 대비 증가해 수익성이 하락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사진-연합뉴스)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