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 오너 2~3세 잇단 승진…대기업 3세도 바이오서 '두각'

'승계 발판 구축' 관측…"빠른 의사 결정 장점…독단은 경계 대상"

최근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오너 일가 2~3세의 승진 소식이 잇따라 들려오고 있다.기업 승계의 발판과 젊은 리더십을 동시에 구축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16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삼진제약 오너 2세인 조규석 경영관리 및 생산 총괄 부사장과 최지현 영업 마케팅 총괄 부사장이 사장으로 승진했다.

발령 일자는 내년 1월 1일이다.승진과 함께 최지현 사장은 기존 업무에 더해 연구개발(R&D) 총괄 업무를 추가로 맡게 됐다.

두 사장은 사내이사로서 최용주 대표이사 사장과 함께 삼진제약의 경영을 이끌 예정이다.

영업 총괄본부장인 조규형 전무와 경영지원·기획·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담당 최지선 전무도 이번 인사에서 부사장 자리에 올랐다.
삼진제약은 조의환 회장과 최승주 회장이 공동으로 경영하고 있다.

조규석 사장과 조규형 부사장은 각각 조 회장의 장남, 차남이고 최지현 사장과 최지선 부사장은 각각 최 회장의 장녀, 차녀이다.

광동제약에선 최성원 대표이사 부회장이 최근 회장으로 승진했다.최 신임 회장은 창업주인 고(故) 최수부 회장의 장남으로, 1992년 광동제약에 입사해 영업본부장, 대표이사 사장, 대표이사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최 회장 지휘 아래 식·의약품을 아우르는 천연물 사업에서 핵심 역량을 확보하는 게 회사의 목표다.

대원제약 백인영 이사는 최근 상무로 승진했다.

대원제약은 창업주인 고 백부현 회장의 장남인 백승호 회장과 차남인 백승열 부회장이 함께 경영하고 있는데, 백인영 이사는 백승열 부회장의 장남이고 올 초 경영총괄 사장으로 승진한 백인환 사장은 백승호 회장의 장남이다.

한 제약 업계 관계자는 이 같은 인사 동향에 대해 "오너 경영은 빠른 의사결정과 경영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회사의 큰 그림을 그리기에 적합해 요즘 같은 경기 침체 시기에 전문경영인 체제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면서도 "독단적인 경영권 오남용과 자질 부족 논란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기업들도 그룹 오너 3세를 제약·바이오 계열사 주요 자리에 앉히며 새 임무를 부여하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장녀인 최윤정 SK바이오팜 전략투자팀장은 최근 사업개발본부장으로 승진했다.

사업 개발과 투자 간 시너지 효과를 통해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를 이을 두 번째 제품을 추진하려는 모습이다.

롯데그룹에선 신동빈 회장의 장남인 신유열 롯데케미칼 상무가 전무로 올라섰다.

신 전무는 롯데지주에 신설되는 미래성장실의 실장을 맡아 바이오와 헬스케어 등 신사업을 관리하고, 롯데바이오로직스 글로벌전략실장도 겸직하며 바이오 사업 경영에 직접 참여할 예정이다.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조선, 반도체, 자동차 등 이미 성숙한 산업에 비해 바이오는 아직 성장할 여지가 많이 남아있는 편"이라며 "오너 3세라는 뉴페이스를 통해 비교적 신사업인 바이오 분야에서 새 리더십을 구축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