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음성분석모델'등 17건, 적극행정 우수사례 본선진출

8일 오후 국민참여 방식으로 최종 순위 결정
보이스피싱 용의자들의 목소리를 분석해 수사에 기여하는 행정안전부의 '보이스피싱 음성분석 모델' 등이 올해 적극행정 우수사례 본선에 올랐다. 행정안전부와 인사혁신처는 8일 '2023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 본선 심사 후 시상식을 개최한다.

이번 대회에서는 중앙, 지자체, 공공기관, 지방공사·공단 등 289개 기관에서 제출한 570여 건의 사례 중 17건이 본선에 진출했다.

최종 순위는 국민심사단의 사전 현장심사(30%)와 전문가 심사(50%), 국민투표단의 실시간 온라인 투표(20%) 점수를 합산해 오후 5시 30분에 결정된다. 공개모집을 통해 선발된 400여 명의 국민투표단과 현장에 참석한 10명의 전문가는 인사처TV로 실시간 중계되는 발표 영상을 본 뒤 각각 투표와 심사를 해 대상 6건과 최우수상 11건을 선정한다.

이번 대회는 국민이 참여해 적극행정 사례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돼 의미를 더했다.

본선에 진출하지 못했지만 우수 행정으로 꼽힌 우수상에는 ▲ 버스승강장 정차안전장치 시스템 구축(경기도 의정부시) ▲ 농촌지역 맞춤형 대중교통 모델 제시(전북 완주군) ▲ 복지 사각지대 위기가구를 우체국 집배원이 발굴(과기부·부산 영도구) 등 총 39건이 선정됐다. 이들 사례에는 행정안전부장관상, 인사혁신처장상이 수여될 예정이다.

한편 이번 경진대회에는 적극행정을 추진했지만 아쉽게 성과를 내지 못한 지역아동센터 석면환경 개선사업(한국환경공단) 등 '모범 실패사례'도 3건 선정됐다.

이날 최종 입상한 사례들은 사례집, 카드뉴스 등 다양한 방식의 교육·홍보 콘텐츠로 제작돼 활용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