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 달린 풍선 드론으로 감시'…울산시, 산불 방지대책 추진

100∼300m 상공 '36배 줌' 고해상도 카메라가 반경 10㎞ 관찰
울산시가 산불 감시를 위해 '풍선 드론'을 도입한다. 시는 2023년 하반기 산불 방지대책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31일 밝혔다.

시는 우선 11월 1일부터 내년 5월 15일까지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운영한다.

또 11월부터 총 45명으로 구성된 인화물질 제거 전담반을 편성, 산과 연접한 도심 주택가나 국가산업단지 주변에 배치한다. 도심과 국가산업단지 산불 감시체계 강화를 위해 국가산단 주변에 산불감시 카메라 6대를 추가 설치, 총 26곳에서 28대의 카메라를 운영한다.

특히 올해부터 풍선 드론을 활용한 감시체계를 취약 장소인 중구 입화산과 국가산단 주변에 도입한다.

이 드론은 헬륨가스 풍선에 드론을 매달아 100∼300m 상공에서 반경 10㎞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풍선은 지름 3.45m 크기의 실리콘 재질이며, 삼각형 연 모양의 드론 비행체 아래 36배 줌이 가능한 고해상도 카메라가 설치된다.

별도 제작된 전선을 연결해 전력을 계속 공급할 수 있어, 주 1회 헬륨가스 보충을 위해 하강하는 것을 제외하면 24시간 내내 비행 촬영이 가능하다.

초속 22m 이하의 풍속에서 운영할 수 있어 특별히 강풍이 부는 상황이 아니면 언제든지 활용할 수 있다. 풍선 드론이 산불을 예방하는 홍보 효과도 있어, 산불감시원이 퇴근한 후 산 연접지역에서 이뤄지는 농작물 소각 등에 따른 산불 발생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시는 기대한다.
울산에서는 올해 사람의 부주의로 발생한 산불이 7건 발생해 1억4천여만원의 산림 피해가 발생했다.

시 관계자는 "산불 예방을 위한 실천 사항으로 산에서 담배 피우지 않기, 지정된 장소 외 취사 행위나 불 피우기 금지, 논이나 밭두렁 소각 안 하기, 산 연접 지역에서 생활 쓰레기나 영농폐기물 소각하지 않기 등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실천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