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도 열광한 한국産 뮤지컬 '위대한 개츠비'

신춘수 오디컴퍼니 대표

뉴저지 밀번 극장서 시험공연
1200석 극장 2주간 전석 매진
내년 브로드웨이 진출 협의중

"K뮤지컬도 K팝처럼 만들겠다"
미국 뉴저지 밀번 페이퍼밀 플레이하우스에서 지난 22일 초연한 뮤지컬 ‘위대한 개츠비’. /오디컴퍼니 제공
‘미국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소설’을 꼽을 때 빠지지 않는 책이 있다. 미국 뉴욕을 배경으로 ‘아메리칸드림’을 좇는 젊은이의 이야기를 다룬 <위대한 개츠비>다.

이 소설을 뮤지컬로 각색한 작품이 미국 무대에 올랐다. ‘가장 미국적인 작품’답게 제작진도, 등장 배우도 거의 다 미국인이다. 하나 특이한 건 이 모든 것을 기획하고 꾸려나가는 총괄 프로듀서가 한국 사람(신춘수 오디컴퍼니 대표)이란 점이다.‘위대한 개츠비’의 첫 공연이 열린 지난 22일 미국 뉴저지 밀번의 공연장에서 만난 신춘수 대표(사진)는 “미국인들에게 남다른 의미를 지닌 이 작품을 들고 세계 최고 뮤지컬 무대인 브로드웨이 문을 두드릴 것”이라며 “내년 상반기 입성을 목표로 2~3개 극장과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2주치 공연 전석 매진

미국 뮤지컬 시장은 한국과 다르게 돌아간다. 한국에서 작품을 준비할 때는 서울에 있는 공연장과 공연 기간부터 정하는 게 순서다. 서울에서 인기를 끌면 부산, 대구 등 지방을 돈다. 미국은 반대다. 먼저 각 지역 공연장에서 관객 반응을 살펴보고, 그에 따라 공연 내용을 수정하며 완성도를 높인다. 이를 시험 공연이라는 의미의 ‘트라이아웃(Try-out)’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가능성이 확인돼야 브로드웨이로 갈 수 있다.뮤지컬 ‘위대한 개츠비’는 밀번의 ‘페이퍼밀 플레이하우스’에서 22일부터 2주간 시험 공연을 시작했다. 전 공연의 전 좌석(1200석)이 이미 ‘완판’됐다. 이 극장이 문을 연 1934년 이후 이런 적은 거의 없었다고 한다.

신 대표는 “미국의 트라이아웃 극장은 공연장을 빌려줄 뿐 아니라 작품에 직접 투자하고 이후 수익을 나누는 구조”라며 “그래서 작품을 깐깐하게 고른다”고 설명했다. ‘위대한 개츠비’는 제작비 350만달러(약 47억4000만원) 중 120만달러를 극장에서 투자했다. 통상 뮤지컬 한 편 제작비가 200만달러 선인 점을 감안하면 전체 투자금액도 많고, 극장이 투자한 비율도 높은 편이다. 그만큼 성공 가능성을 높게 봤다는 얘기다.

두 시간 넘게 이어진 뮤지컬은 소설 <위대한 개츠비>의 줄거리를 충실히 따랐다. 개츠비가 데이지와의 재회를 앞두고 부르는 ‘겨우 차 한잔(Only Tea)’에선 재미있는 가사와 율동 덕분에 객석에 웃음꽃이 피었다. 데이지를 그리며 부르는 ‘그녀를 위해(For Her)’는 극 중 여러 차례 반복돼 관객들의 머릿속에 멜로디를 꽂아 넣었다.빅밴드 재즈와 함께 탭댄스가 어우러진 파티 장면은 화려함을 더했다. 신 대표는 “제3자의 시선으로 풀어나가는 소설과 달리 뮤지컬은 개츠비가 직접 노래하며 감정을 드러낸다”며 “소설에 익숙한 관객들도 새로운 느낌으로 관람할 수 있는 뮤지컬”이라고 설명했다.

○‘3전 4기’ 브로드웨이 도전

신 대표의 브로드웨이 도전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9년 ‘드림걸즈’의 공동 프로듀서로 일할 때부터 계속 두드렸다. 직접 제작에 뛰어든 것은 2012년 ‘요시미 배틀스 핑크 로봇’의 시험 공연이 처음이었다. 이후 2014년 ‘홀러 이프 야 히어 미’, 2015년 ‘닥터 지바고’ 등으로 브로드웨이에 입성했다. 하지만 다 실패했다. 거액의 투자금을 날렸고, 회사는 위기에 빠졌다. ‘지킬 앤 하이드’ ‘데스노트’ 등 국내에서 ‘대박’ 뮤지컬을 잇달아 내놓은 그에게도 브로드웨이의 문턱은 높았다.

신 대표는 “이번엔 다를 것”이라고 자신한다. 그는 “이전에는 브로드웨이에 작품을 올리는 걸 목표로 한 탓에 완성도가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며 “위대한 개츠비는 3년 넘게 준비한 데다 수정 작업을 거듭하면서 완성도를 높였다”고 강조했다.그는 왜 잇따른 실패에도 불구하고 브로드웨이에 도전할까. 신 대표는 “뮤지컬 제작자의 머릿속에 브로드웨이가 없다는 건 꿈과 목표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한국 뮤지컬도 잘 가꾸면 가요나 드라마, 영화처럼 세계 무대에서 충분히 통할 수 있다”고 했다.

“브로드웨이에서 성공하면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습니다. 아시아계 제작자가 브로드웨이를 휩쓴 첫 사례를 만드는 게 목표예요. 그러면 자연스럽게 ‘K뮤지컬’ 시대도 열릴 겁니다.”

뉴욕·뉴저지=나수지 특파원 suji@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