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으로 인한 혼란 제한적' 전망에 유가 이틀째 안정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원유 공급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나오면서 국제유가가 이틀 연속 하락했다.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2.88% 하락한 배럴당 83.4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전쟁 소식이 전해진 직후인 지난 9일 4% 이상 급등했던 유가는 이후 이틀간 3.35% 하락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 뉴욕타임스가 미국 정보 당국자를 인용해 이란의 핵심 지도자들이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 소식에 놀랐다고 보도한 것이 유가 하락에 영향을 줬다.

이는 이란산 원유에 대한 추가 제재 가능성을 낮추고 이란과 이란의 지원을 받는 무장단체 등이 분쟁에 휘말리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를 주도하는 사우디아라비아가 10일 석유 시장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OPEC+의 노력을 지지한다고 재차 밝힌 것도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와 함께 지난 9일 급등한 데 따른 기술적 움직임인 이른바 '갭 메우기'도 한몫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대해 BOK파인낸셜 증권의 데니스 키슬러 트레이딩 담당 수석 부사장은 이번에 발생한 것과 같은 급등은 새 추세가 형성되기 전에 벌어진 가격 차를 메우기 위한 조정 움직임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국제 유가는 지난 3분기 OPEC+의 감산으로 급등했다가 수요 감소 우려로 하락하는 등 변동성이 커진 가운데 이번 전쟁으로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미국 정부는 올해 미국의 석유 생산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는 등 OPEC+의 최근 감산 조치 등으로 인해 미국이 글로벌 시장 공급 측면에서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게다가 미국은 베네수엘라가 자국 내 공정한 선거를 보장하는 대가로 석유와 은행 제재의 일부를 완화하는 양국 간 협상이 거의 합의에 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