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제한만 벌써 10년…언제까지 대형마트 규제할 건가 [사설]

한때 국내 유통시장의 맹주로 군림하던 대형마트의 입지가 쪼그라들고 있다.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국내 ‘빅3’ 마트가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극심한 매출 부진과 수익성 악화를 겪고 있다. 딜로이트의 ‘2023 글로벌 소매업계 보고서’를 보더라도 세계 250개 소매업체 중 한국 기업들의 매출은 전체 평균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국내 오프라인 1위 이마트의 올 1분기 영업이익률(0.1%)은 적자를 면한 수준이다.

이런 현실은 올해가 국내에 대형마트 등장한 지 30년째라는 점에서 더 씁쓸하다. ‘할인점’이란 개념조차 없던 시절 서울 도봉구 창동에 처음 문을 연 대형마트는 이후 점포 수를 폭발적으로 늘리며 국내 소비시장에 혁명적 변화를 가져왔다. 대규모 직매입, 물류창고 대형화, PB(자체 브랜드) 상품 확대 등을 통해 질 좋은 상품을 싸게 팔아 국민 소비생활과 물가 안정에 크게 기여했다. 하지만 2010년대 중후반 이후 성장 정체가 시작됐다. 2019년 423개에 달했던 빅3 마트 점포 수는 현재 396개로 줄어들었다.대형마트의 쇠퇴는 온라인 쇼핑 급부상, 시대착오적 영업 규제, 혁신 부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무엇보다 급격하게 이뤄진 온라인 쇼핑으로의 전환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그 결과 대형마트가 유통시장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2014년 27.8%에서 올 상반기 13.3%로 줄었다. 반면 온라인 쇼핑 채널 비중은 같은 기간 28.4%에서 49.8%로 급증했다. 기업들이 뒤늦게 추진한 매장과 상품 혁신은 젊은 소비자를 새로 끌어들이기엔 역부족이었다.

더 절망적인 것은 주 2회 의무휴업, 영업시간 제한 등과 같은 해묵은 규제가 10년째 요지부동이라는 점이다. 다분히 포퓰리즘적 의도에서 신설된 규제는 소비자 불편만 키웠을 뿐 당초 기대한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보호 같은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난 마당이다. 작은 규제 완화도 필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대못처럼 박혀 있는 ‘킬러 규제’의 혁파다. 그래야 온라인과 제대로 경쟁하고, 더 나은 상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활로가 대형마트에도 열릴 것이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