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남한 지칭에 '남조선' '대한민국' 혼용…대내외 구분하나

대외용 매체서 '대한민국' 언급하고 대내용 보도엔 '남조선' 유지
큰 흐름은 '국가 대 국가' '투 코리아' 관점 짙어져
북한이 최근 남한을 지칭하는 용어로 '남조선'과 '대한민국'을 혼용하는 양상을 보여 그 배경이 주목된다.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 10∼11일 미군의 정찰 활동을 비난하는 두 건의 담화에서 강조의 의미를 담는 용도인 '겹화살괄호'(《》)를 사용해 '대한민국'을 언급했다.

북한은 남측을 보통 '남조선' 또는 비난할 경우 '남조선 괴뢰' 등으로 지칭해왔고, '대한민국' 또는 '한국'은 북한 주요 매체나 공식 문건에서 사실상 사용되지 않았던 표현이라 시선이 쏠렸다.

남측을 '같은 민족' 또는 '통일의 대상'으로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이제 남측을 '별개의 국가'로 보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한 것으로 해석됐다는 점에서다. 그러나 북한은 신형 고체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 시험발사 소식을 전한 13일 보도에서는 '남조선'이라는 명칭을 유지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전날 발사 현지지도에서 남한을 '남조선 괴뢰'라고 표현한 것으로 보도됐다.

그는 "미제와 남조선 괴뢰 역도들이 부질없는 반공화국 적대시 정책의 수치스러운 패배를 절망 속에 자인하고 단념할 때까지 보다 강력한 군사적 공세를 연속적으로 취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북한이 남한을 지칭하는 용어를 달리한 것은 대내용과 대외(대남)용을 구분하려는 의도가 내포됐을 가능성이 있다.

김여정 담화는 남한과 국제사회를 겨냥한 대외용 매체인 조선중앙통신에서만 발표됐지만, 화성-18형 발사 소식은 조선중앙통신은 물론 북한 주민들이 읽는 노동신문에도 같이 실렸다.

결국 '국가 대 국가'라는 관점이 반영된 용어는 철저히 대남용 발언을 부각하는 보도에서만 사용하고, 주민들이 접하는 매체에서는 자칫 대남인식에 혼란을 줄 수 있는 새 용어를 지양하는 분위기로 풀이된다. 물론 북한이 용어 사용을 달리하는 정확한 의도를 판단하기엔 섣부르지만, 대외용 공식 담화에서 등장한 '대한민국'은 북한 지도부가 남북관계 개선이나 통일 문제보다는 독자적인 국가 발전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더욱 명확히 한다.

특히 김정은 정권의 대남 인식에 '국가 대 국가' 관점이 짙어지고 있다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한반도 정세 악화와 함께 대남·대미 협상 전망이 어두워지고 이러한 정세가 장기화할 것이라는 판단 아래 '적대적 공존'에 무게를 둔 '두 개의 한국'(Two-Korea) 정책으로 초점이 이동했다는 것이다.

중요한 남북관계 현장의 핵심이었던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이 2021년 제8차 당 대회 이후 활동을 감춘 것도 이런 분석을 뒷받침한다.

서보혁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김정은 정권에서 남북관계 개선보다는 독자적인 하나의 국가로서 경제발전이나 핵무력건설에 주력하고 통일에 대한 관심은 떨어진다는 생각이 든다"며 "과거 남북합의나 민족통일 이런 것보다는 철저하게 실리적인 국가 대 국가의 관점에서 민족 개념이 없어지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의 의도를 예단치 않고 향후 동향을 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