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초음속 급강하' 대함미사일 신호 탐지기술 국내 개발

ADD, 함정 전자전장비 적용기술 확보…한국형 차기구축함 탑재 목표
공중에서 극초음속으로 급강하하는 적 대함미사일의 신호를 탐지하는 기술을 국내 개발했다.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적 미사일이나 레이더 위협 신호를 탐지하는 '2차원 방향 탐지' 기술을 국내 최초로 확보했다고 11일 밝혔다.

해면을 저공 비행하는 방식으로 함정을 위협하는 대함미사일이 최근 공중에서 극초음속으로 급강하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는 것에 대응해 기술을 개발하게 됐다.

ADD는 "위협 신호의 방위각(가로축)만을 측정하던 기존 방식에서 고각(가로축)까지 2차원 방향을 탐지하는 기술을 개발하게 됐다"면서 "공중에서 발생하는 적 위협 신호도 찾아내 함정의 미사일 탐지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20년 개발에 착수한 이 기술은 함정용 전자전장비 성능 개량에 적용돼 우리 함정이 해상과 공중에서 적 위협을 더욱 정밀하게 탐지할 수 있게 됐다.

새 기술이 적용된 2차원 방향 탐지 장치는 내년 1번함 건조가 시작되는 6천500t급 한국형 차기구축함(KDDX)에 탑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DD는 "2차원 방향 탐지기술은 우리 함정을 향한 적 위협에 대해 정밀한 탐지 능력을 제공해 함정용 전자전장비-Ⅱ의 성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 기술을 이지스 구축함과 유·무인기 등 다양한 플랫폼에 탑재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확보된 기술을 함정용 모형 통합마스트에 시험 적용한 결과, 기존 장치보다 동시신호 처리능력이 향상되고, 탐지주파수 확장 및 탐지거리 증대 등 효과가 나타났다고 ADD는 덧붙였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