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누구도 나를 파괴할 수 없다·암각화, 바위에 새긴 역사

▲ 누구도 나를 파괴할 수 없다 = 데이비드 고긴스 지음. 이영래 옮김.
30시간 동안 200㎞를 주파하고, 17시간 동안 턱걸이 4천30회를 해내 기네스 기록에 오른 사람이 있다.

그는 울트라마라톤이나 철인 3종 등 인간의 체력을 극한으로 몰고 가는 경기에도 70회 이상 출전했다. 책은 이처럼 한계를 뛰어넘는 체력과 정신력으로 세상을 놀라게 한 미국 해군 특수부대 네이비실 출신 데이비드 고긴스(48)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담았다.

고긴스가 처음부터 철인이었던 것은 아니었다.

그는 136㎏의 몸을 끌고 바퀴벌레를 잡으며 한 달에 110만원 정도를 받아 생계를 이어가는 '루저'였다. 어린 시절은 불운했다.

여섯살 때부터 아버지가 운영하는 스케이트클럽에서 밤새워 허드렛일했다.

학교에서 공부는 언감생심이었고 졸음을 참는 것이 그가 할 수 있는 최선이었다.
석 달 만에 체중을 48㎏ 줄이고 입대하면서 인생의 전환기가 찾아온다.

지원자에게는 언제든 지옥 같은 훈련을 포기할 자유가 있었다.

동료 중 한명인 스코프는 다리를 사슬로 묶고 헤엄치는 '애벌레 수영' 중에 목숨을 잃었을 정도로 훈련은 가혹했다. 고긴스는 훈련 중 오른쪽 무릎이 골절된 상태로 수영장에서 50m 잠영을 하고, 모래밭에 뒹굴며 악명 높은 '지옥주'를 버티면서 점차 철인으로 변해 간다.

2015년 해군 수석 부사관으로 은퇴한 후 소방관으로 변신해 여전히 투혼을 불사르고 있는 고긴스는 일상의 안락에 빠져 흐르는 대로 살고 있는 독자를 강한 어조로 질책한다.
"당신은 아마 진정한 자기 역량 중 40% 정도만 이용하고 있을 것이다.

부끄러운 줄 알아라. 우리 모두에게는 훨씬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
웅진지식하우스. 452쪽.

▲ 암각화, 바위에 새긴 역사 = 전호태 지음.
바위에 그려진 암각화는 문자가 등장하지 않은 선사시대 인류의 생활상을 연구하는 중요한 단서이지만 일반인에게는 여전히 생소한 영역이다.

이 책은 선사 미술을 전공한 교수, 웹툰 작가, 문화유산 해설사, 공무원 시험 준비생, 펜션 운영자가 국내 각지에 있는 암각화를 답사하는 상황을 가정해 이들이 나누는 대화를 통해 독자를 암각화의 세계로 안내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단연 눈길을 끄는 것은 울산 반구대 암각화다.

책에 따르면 여기에는 사람, 육지 동물, 해양 동물, 어류, 선박 등 353점이 새겨져 있다.

사슴처럼 보이는 육지의 네발 동물은 물론 고래와 같은 거대 해양 동물도 등장한다.

암각화 속 동물은 몸통 각 부분 사이의 비례가 비교적 잘 맞게 돼 있으며 짐승과 사람의 위치, 자세가 비교적 정확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를 두고 암각화를 만든 사람이 이들 짐승을 실제로 사냥하면서 잘 관찰했기 때문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고래 역시 당시 인류에게 먹거리로 인식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은이는 독자가 자연스럽게 암각화에 관심을 갖도록 하기 위해 '다큐 텔링'이라고 스스로 이름 붙인 방식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형식상 정교한 논증을 넣기는 어렵지만 그래도 연구자들 사이에 최소한의 동의를 받을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기 위해 애썼다고 저자는 전했다. 푸른역사. 220쪽.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