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전남도청 복원 세미나 개최 "원형 보존 최대한 반영해야"

5·18 민주화운동 최후 항전지인 옛 전남도청 복원 사업에 원형보존 콘텐츠를 최대한 충실히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재의 5·18기념재단 연구위원은 31일 광주 전일빌딩245에서 열린 '옛 전남도청 전시콘텐츠 복원모델 도출을 위한 세미나'에서 복원 원칙과 방향에 대해 이같이 제언했다.이 위원은 민간 주도, 원형 복원, 민주 연대, 왜곡 대응, 정신 계승 등 5대 원칙을 토대로 복원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불법 폭력의 당사자였던 국가가 복원의 주체가 될 수는 없다며 정부는 지원 역할을 하고 민주화운동을 주도한 시민들이 복원에 앞장선다면 세계적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장소·건물은 물론 사건도 역사적 고증을 통해 최대한 원형 그대로 보존해 교훈의 현장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단순히 과거를 보여주는 공간에 그치지 않고 세계인들과 연대·교류함으로써 세계의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공간으로 성장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그는 옛 전남도청 본관과 별관, 회의실, 민원실, 옛 전남경찰청 건물 등 각 공간에 과거, 현재, 미래 주제를 투영하고 관람객들이 5·18의 순간들을 체험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이 위원은 "시민들의 저항이 왜 무장에 이르렀는지, 어떤 희생으로 민주주의를 되찾았는지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알 수 있도록 관련 콘텐츠를 충실히 포함하고 원형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문체부는 2025년 개관을 목표로 총사업비 505억원을 들여 옛 전남도청 복원 공사를 하고 있다.

이 중 전시콘텐츠 사업비는 약 110억 원으로, 철저한 고증과 서사를 바탕으로 1980년 5·18 당시 상황을 실물 또는 가상 콘텐츠로 구현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