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사죄' 전두환 손자 긍정평가 67.5%

인천경기 가장 호의적…대구경북도 절반 이상 긍정
5·18 헌법 전문 수록 찬성 70%·반대 13.4%
전직 대통령 전두환 씨의 손자 전우원 씨가 5·18 민주화운동 희생자를 찾아 사과한 것을 두고 10명 중 6명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5·18 민주화운동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는 현안에 대해서는 70.8%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12일 5·18 기념재단이 여론조사기관 서던포스트에 의뢰한 '2023년 5·18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67.5%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매우 긍정적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31.8%, 긍정적이라고 한 응답자는 35.7%였다.매우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5.1%를 포함해 부정적 응답은 11.7%로 나타났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8.8%였다.

연령별로는 40대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73.9%로 가장 높았고, 50대 73.5%, 60대 67.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지역별로는 인천·경기 지역에서 72.7%가 긍정적으로 평가해 가장 많았고, 부산·울산·경남 71.2%, 광주·전라권 70.6% 순으로 파악됐다.

대구·경북은 53.4%가 긍정 평가해 타 권역에 비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우원 씨의 사죄와 관련해 향후 기대되는 점으로 응답자의 28.2%가 전두환 비자금 환수를 꼽았다.5·18 진상규명(21.8%)과 피해자 명예회복(21.5%), 가해자들의 고백과 사죄 유도(18.6%)가 그 뒤를 이었다.

전두환 비자금 환수를 기대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0대부터 70대까지는 모두 전두환 비자금 환수 응답이 가장 많았던 반면 20대와 30대는 피해자의 명예 회복 응답이 가장 많았다.

5·18 민주화운동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는 현안에 대해서는 70.8%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보통이다 13.0%, 필요하지 않다 13.4%로 나타났다.

조시기관 관계자는 "표본 조사로 진행된 특성을 고려하면 직접적인 수치를 비교하는 것이 다소 무리한 해석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시민들은 5·18 정신이 헌법 전문에 수록되는 것에 대한 찬성 여론이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성인남녀를 1천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전화번호를 무작위 추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응답률은 14.3%로,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