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가 닿을 수 있는 가장 높은 곳, 작약

이소연의 시적인 순간

예고 없이 꽃이 피고 작약이 온다
그 징후를 아는 구름이 되고 싶다

이소연 시인
얼마 전 성수동 블러썸제이스튜디오에서 열린 꽃 전시회 <노란 노랑>에 다녀왔다. 빌라 건물 4층의 작은 공간은 노란빛으로 가득 차 있었다. 커다란 거울에 비친 사각 프레임과 의자를 비롯해 웰컴 티를 담은 컵까지 꽃잎의 생생한 노란 빛을 머금고 있었다.

그 와중에 내가 놀란 것은 빛나는 노란 꽃잎들 속에서 붉은 작약이 떠올랐다는 사실이다. 처음엔 노란 꽃의 대명사 해바라기 생각을 조금 했다. 전날 읽은 중국 한족 작가 리쥐안의 산문집 <아스라한 해바라기 밭> 때문이었다. 온종일 홀딱 벗은 채로 키 큰 해바라기 밭을 돌아다니는 엄마의 모습을 뤼지안은 “물속에서 둥둥 뜨지 않도록 노력하며 강을 건너는 것처럼 보였다”고 묘사했다. 바람 한 점 불지 않는 해바라기 밭에 물을 대느라 땀범벅이 된 엄마가 해바라기 하나하나가 물을 충분히 머금는지 지켜보는 마음은 무엇이고 그런 엄마를 지켜보는 마음은 또 무엇일까? 물이 이 대지 위에서 가 닿을 수 있는 가장 높은 곳이 해바라기라니…. 리쥐안의 말에 해바라기가 품은 성결한 식물의 길이 느껴졌다. 어쩌면 마음이 가 닿을 수 있는 가장 높은 곳이 세상 모든 꽃의 꼭대기인지도 모르겠다. 그렇지 않다면, 어째서 우리는 마음을 전하고 싶을 때마다 꽃다발을 안기고 싶은 걸까?
작약 좋아하는 친구에게 작약을 선물해야지 생각했다. 꽃을 받은 친구에게서 전화가 왔다. 화병에 꽂은 작약이 얼마나 예쁜지, 오늘은 몇 장의 꽃잎이 떨어지고, 비밀을 움켜쥔 봉오리는 얼마나 벌어졌는지 이야기해줬다. 가만가만 듣고 있는데 친구의 목소리에서 작약 냄새가 났다. 이 모든 걸 어떻게 설명할까. 시는 설명할 수 없는 것일수록 쓰고 싶어진다. 사랑하는 마음이 그렇다. 예고도 없이 꽃이 피고, 예고도 없이 비가 오고, 예고도 없이 작약이 온다. 물론 그 징후는 울먹이던 구름만 알 것이다. 작약이 피면 뻐꾸기는 품지 못하는 마음으로 알을 낳겠지만, 나는 그래도 한 편의 시를 쓰고 싶다. 어제는 봄비가 왔다. 시인 안도현은 봄비 맞는 작약을 이렇게 썼다. “펼친 꽃잎/접기 아까워/작약은 종일 작약작약 비를 맞네”(식물도감) 모란은 햇빛 짱짱할 때 봐야 예쁘고, 작약은 비올 때 봐야 예쁘다는 할머니 말이 그냥 한 말은 아닌가 보다.

작약작약 쏟아지는 빗소리를 그리워하다 문득 돌아가신 할머니가 떠올랐다. 할머니는 고양이나 염소 혹은 개가 죽으면 땅에 묻고 꼭 그 위에 작약 뿌리를 심어주었다. 뿌리에서 붉은 싹이 돋아 작약꽃이 피기까지 할머니가 고양이나 염소나 개와 이야기를 나누는 것처럼 작약을 보살피며 하던 말들이 생각난다. 나비야, 백구야, 염생아, 하며 하던 말들….

작약은 그 뿌리가 오래될수록, 큰 꽃송이를 가진다고 한다. 그러고 보니 고향 아버지의 텃밭엔 작약이 가득했다. 친구에게 작약을 선물하기 전까지는 나는 그것이 작약인 줄 몰랐다. 작약이 쌍화차의 주원료라는 것도 처음 알았다. 시를 쓸 때는 아는 것도 많아지고 모르는 것도 많아진다. 요즘엔 꽃이 그러하다.

친구에게 선물해 놓고는 “몰랐는데, 작약이 예쁘더라. 노란 꽃만 좋아하는 줄 알았는데, 작약이 정말 예쁘더라.” 감탄했더니, 남편이 작약 한 다발을 사 왔다. 지금, 이 글을 쓰는 책상 위에 코랄 빛 작약이 활짝 피어 있다. 세상에 꽃이 없다면 누가 사람의 얼굴을 기억해 줄까. 내 얼굴을 기억하려고 내가 쳐다볼 때마다 나를 뜯어보고 있다. 작약이란 시를 쓰고 싶다. 작약으로 들어가 볼까. 작약 뿌리가 되어 볼까. 작약이 부르는 나비가 되어 볼까.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