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지역제조업 부흥 '통 큰 투자'…"10년간 60조 쏟아붓는다"

삼성, 제조업 핵심 분야에 10년간 60.1조 투자
충청·경상·호남 사업장 중심으로 투자 집행
"산업 생태계 경쟁력 높이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
사진=연합뉴스
삼성그룹이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향후 10년간 60조1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비수도권에 위치한 핵심 계열사 사업장을 중심으로 특화 사업을 지정해 해당 지역이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취임 이후 줄곧 강조해 온 '지역과의 미래 동행'을 구체화해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은 15일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등 삼성 계열사들이 향후 10년간 제조업 핵심 분야에 총 60조1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충청·경상·호남 등에 위치한 주요 사업장을 중심으로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이번 대규모 투자 계획은 지역 풀뿌리 기업과 산업 생태계의 경쟁력을 높이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지역 산업을 진흥함으로써 지역 균형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도체 패키지 △최첨단 디스플레이 △차세대 배터리 △스마트폰 △전기부품 △소재 등 지역별로 특화 사업을 지정해 투자를 집행한다. 각 지역이 해당 분야에서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기로 했다.

여기에는 '지역과의 미래 동행'을 강조해 온 이재용 회장의 경영철학이 반영됐다. 이 회장은 지난해 10월 회장 취임 직후 전국 각지에 위치한 사업장과 협력사를 잇따라 방문하며 지역 산업과 인재 양성, 경제활성화의 중요성을 피력했다. 지역 산업 생태계 경쟁력이 삼성의 미래는 물론이고 한국 경제의 경쟁력과도 직결된다는 것이 이 회장의 신념이다.

충청권, 반도체 패키지·첨단 디스플레이·차세대 배터리 투자 확대

지역별 투자 계획을 살펴보면 충청권에는 △반도체 패키지 특화단지 △첨단 디스플레이 클러스터 △차세대 배터리 마더 팩토리(Mother factory) 등을 조성한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반도체 패키지 분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천안·온양 반도체 사업장의 차세대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생산량 확충을 위한 시설 투자를 확대한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 기술은 난도가 높고 파운드리·소재·장비 분야의 파트너 회사들과 긴밀한 협력이 중요하다"며 "향후 국내 반도체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제고까지 이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 2월 충남 삼성전자 천안캠퍼스를 찾아 패키지 라인을 둘러보고 사업전략을 점검하고 있다.사진=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는 아산에 '디스플레이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중소형 IT기기 △TV·디지털 사이니지 등 대형 기기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을 비롯한 신규 디지털 기기 등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아산에 '디스플레이 종합 클러스터'를 만들기로 했다.

이를 통해 아산 지역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퀀텀닷(QD) 등 최첨단,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다.

삼성SDI는 천안에 '차세대 배터리' 연구·생산 시설 구축한다. 차세대 배터리 기술 연구·양산 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기존의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용량이 크고 더욱 안전한 '전고체 배터리' 마더 팩토리 등을 구축할 예정이다.'마더 팩토리'는 첨단 생산 기술과 핵심 공정을 선제적으로 개발, 적용해 해외 생산 공장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글로벌 표준 공장이자 핵심 생산 기지다.

삼성전기는 세종에 고부가가치 패키지 기판 생산 거점을 확대키로 했다. 전자회로 패키지 기판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제품 부가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경상권, MLCC·스마트폰·고부가가치 선박 투자 확대

경상권은 △차세대 적층 세라믹 캐피시터(MLCC) 생산 거점 △글로벌 스마트폰 마더 팩토리 △고부가가치 선박 생산 거점으로 육성한다.

먼저 삼성전기는 부산을 MLCC 특화지역으로 육성한다. MLCC용 핵심 소재 내재화를 위한 연구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기로 했다.

MLCC는 전자 회로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전류 흐름을 일정하게 조절하고 부품 간 전자파 간섭을 막아주는 핵심 부품으로, 대부분 전자제품에 들어가 '전자산업의 쌀'로 불린다.

삼성 관계자는 "MLCC는 현재 일본 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의 약 60%를 점유하고 있다. 이번 투자는 급성장하는 MLCC 시장에서 삼성을 비롯한 한국 기업들의 글로벌 영향력 확대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0년3월 삼성전자 구미사업장을 방문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는 구미 스마트폰 공장을 '마더 팩토리'로 만들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구미 사업장에서 현재 갤럭시S23, 폴더블폰 등 삼성전자의 프리미엄 플래그십 스마트폰을 연간 1600만대 생산 중이다.

구미 사업장을 글로벌 스마트폰 마더 팩토리로 구축해 구미에서 개발한 생산 기술을 전 세계의 생산 공장으로 확산시킬 예정이다.

이와 함께 경북대 등 지역 대학들과 계약학과를 운영해 지역 정보기술(IT) 인재 양성을 지원하고 지역 내 고용을 확대하기로 했다.

삼성SDI는 구미와 울산에 투자를 단행한다. 구미에는 첨단소재 특화 생산거점을 육성한다. 삼성SDI는 구미를 QD 등 반도체·디스플레이용 첨단 소재 특화 생산 거점으로 만들 계획이다.

TV, 반도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생산에 사용되는 전자 소재 경쟁력을 강화하고, 차세대 에너지용 첨단 소재까지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추가 투자를 집행하기로 했다.

울산에서는 차세대 배터리 핵심소재 연구를 강화할 방침이다. 배터리 성능을 결정짓는 '양극활 물질' 등 배터리 핵심 소재에 대한 연구와 생산 시설 투자를 확대키로 했다.

삼성중공업은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수주를 늘린다. LNG 운반선 등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수주를 확대해 회사 수익성을 개선하는 한편,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거제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호남권, 스마트 가전 중심 투자…미래 가전 사업 큰 축으로

삼성전자 광주사업장에서 직원들이 '무풍에어컨'을 생산하는 모습.사진=삼성전자
호남권은 스마트 가전 제품 중심으로 생산량을 확대한다. 삼성의 미래 가전 사업에 더욱 큰 역할을 맡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현재 광주사업장에서 생산 중인 가전제품을 프리미엄 스마트 제품 중심으로 확대·재편해 '글로벌 스마트 가전 생산 거점'으로 육성한다.

삼성은 60조1000억원의 대규모 투자 외에도 지역 기업을 위해 △반도체 생태계 육성 프로그램 △기술 및 자금 지원 △지역 인재 양성 지원 등을 입체적으로 전개해 지역 산업 부흥에 기여하기로 했다. 추가 상생 프로그램에는 향후 10년간 총 3조6000억원을 투입한다.

국내 반도체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내 협력회사·중소 팹리스 지원을 확대하고, 스마트공장 고도화 등 지방 중소업체에 기술과 자금을 지원한다. 또 1조원 규모의 ESG 펀드를 신규 조성해 지역 중소기업을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지방 산업단지 입주기업 오·폐수 재이용 지원 △지역 청년창업 지원 확대 △지방 대학과 계약학과 운영 활성화 △지방 청년 대상 S/W 교육 기회도 확대한다.삼성 관계자는 "기술개발 지원과 경영 혁신 컨설팅, 인력 채용·교육 등 지역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도 확대 운영하는 한편, 지역 청년들을 위한 청년활동가 지원, 보호종료 청소년 자립 지원 사업도 지속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