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원론 산책] 상호작용에 따른 전략적 상황을 게임이라고 해요

(33) 과점시장과 게임
게티이미지뱅크
전략적 상황이란 어떤 사람이 결정한 행동의 결과가 자기 의지와 상관없이 상대방의 행동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자본주의 경제에서 완전경쟁시장은 거의 사라지고 불완전경쟁시장이 보편적인 형태로 자리 잡으면서 전략적 상황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시장이 완전경쟁적이라면 시장 참여자인 수요자나 공급자는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시장에서 결정된 가격변수를 보고 상품, 노동력 등을 공급하거나 구매하는 의사결정을 하면 될 뿐, 다른 수요자나 공급자의 행동은 신경 쓸 필요가 없다. 즉 완전경쟁시장에서 수요자나 공급자 같은 경제주체들은 시장과 상호작용을 할 뿐이다. 경제주체 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은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할 필요도 없다.

전략적 상황의 등장

불완전경쟁시장이 보편화된 현재는 수요자와 공급자 사이에서뿐만 아니라 공급자나 수요자끼리도 경쟁이라는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이윤과 효용을 극대화한다. 이런 전략적 상황은 경제현상 속에서뿐만 아니라 국제관계 같은 사회현상 속에서도 점점 더 많이 관찰되고 있다. 이는 현대사회의 특징을 나타내는 하나의 용어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다.

게임이론

전략적 상황이 경제 또는 사회현상 속에 언제, 어느 분야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경제현상 중에서 전략적 상황에 대한 연구가 처음 이뤄진 것은 과점시장에서 기업 사이의 경쟁과 담합이 번갈아 발생하면서부터다. 과점시장에서 시작된 연구는 수요자 사이의 경쟁과 수요자와 공급자 사이의 경쟁 분야로 발전해나갔다. 국제관계 등과 같은 다른 사회 분야에서도 전략적 상황을 기반으로 한 연구를 많이 하고 있다.

전략적 상황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을 게임이론이라고 한다. 게임이론에서는 전략적 상황을 게임이라고 부른다. 즉 게임에선 나의 행동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행동에 따라 나에게 미치는 결과가 달라지는 상황이 전개된다. 일반적으로 게임이라고 하면 축구나 야구 같은 운동을 먼저 떠올릴 것이다. 운동 경기도 전략적 상황이므로 당연히 게임에 포함된다. 따라서 게임이론에서 말하는 게임이라는 용어엔 운동 경기를 포함한 모든 전략적 상황이 다 해당된다.

게임의 구성 요소

게임이론에서 게임이 성립하려면 경기자, 전략, 보수라는 세 가지 요소가 있어야 한다. 이 요소들은 전략적 상황으로 간주할 수 있는 세 가지 요인으로도 볼 수 있다. 경기자는 개인만이 아니라 기업이나 국가도 해당된다. 경기자 수도 2명으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명이 함께할 수도 있다. 전략은 게임에 참가하는 경기자가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으로, 경기자의 전략에 따라 게임의 결과가 달라진다. 보수는 게임에 참가한 각각의 경기자에게 귀속되는 게임의 결과다.2개의 기업이 과점시장에서 경쟁하는 상황을 예로 든다면, 이 2개의 기업이 경기자, 이들 기업이 가격을 인하하는 경쟁을 한다면 이것이 전략이며, 가격을 내리는 경쟁을 통해 이들 기업이 가져가는 이윤은 보수가 된다. 또 다른 예로 2명이 가위바위보를 해서 이긴 사람이 1개 남은 과자를 먹기로 했다면 가위바위보를 하는 2명이 경기자고, 가위 바위 보 각각이 이들 경기자가 취하는 전략이며, 가위바위보를 통해 이긴 사람이 먹게 되는 과자가 보수다.

게임의 유형

게임은 구분하는 방식에 따라 매우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지만 경기자들이 얻게 되는 보수를 기준으로 게임을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게임에 참가한 모든 경기자가 받는 보수의 합이 0이면 제로섬게임이고, 0이 아니면 비제로섬게임이라고 한다. 도박의 경우 한 경기자가 돈을 잃으면 다른 경기자는 그만큼을 가져가게 되므로 제로섬게임이 된다.

하지만 과점시장에서 기업 사이에 벌어지는 게임의 경우 게임의 보수로 크든 작든 기업들이 이윤을 모두 가져가게 되므로 비제로섬게임이 된다. 경제현상에서 나타나는 게임은 비제로섬게임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기억해주세요

김형진 서울대 경영학과 강사
전략적 상황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을 게임이론이라고 한다. 게임이론에서는 전략적 상황을 게임이라고 부른다. 즉 게임에선 나의 행동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행동에 따라 나에게 미치는 결과가 달라지는 상황이 전개된다. 일반적으로 게임이라고 하면 축구나 야구 같은 운동을 먼저 떠올릴 것이다. 운동 경기도 전략적 상황이므로 당연히 게임에 포함된다. 따라서 게임이론에서 말하는 게임이라는 용어엔 운동 경기를 포함한 모든 전략적 상황이 다 해당된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