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미국서 'SK 바이오 나이트' 개최...글로벌 협력 확대

샌프란시스코서 글로벌 50여 기업 초청
SK가 SK바이오팜 SK팜테코 등 바이오 관계사들과 공동으로 글로벌 협력관계 확장을 위한 교류 행사를 개최한다.

SK는 11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포시즌스 호텔에서 SK의 제약·바이오 기업과 글로벌 협력사, 투자회사 등 50여개사 관계자 약 100명이 참석하는 'SK 바이오 나이트'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이날 행사에는 장동현 SK 부회장을 비롯해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 요그 알그림 SK팜테코 사장, 김연태 SK 바이오투자센터장 등 SK의 제약·바이오 사업을 이끌 새로운 경영진이 모두 참석한다. 미래 사업방향을 공유하고 투자자 및 협력사들과 관계를 다지는 등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한 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SK바이오팜, SK팜테코, SK 바이오투자센터는 최근 글로벌 제약·바이오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고 미래 사업 기회를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최고경영자(CEO) 및 투자센터장을 신규 선임했다.

SK는 김연태 바이오투자센터장이 나서 합성의약품을 넘어 바이오의약품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그간의 노력과 향후 방향을 설명한다. SK바이오팜은 이동훈 사장(사진)이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의 글로벌 시장 확대 현황과 SK바이오팜의 차세대 혁신신약 후보물질 구축 전략에 대해 발표한다.SK팜테코는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의 신성장 영역인 세포·유전자 치료제(CGT) 분야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후 글로벌 CDMO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했다. 알그림 사장이 사업 비전 및 경쟁력, 글로벌 CDMO로서 운영 방향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제약·바이오 사업 초기부터 SK는 현지화 전략을 바탕으로 글로벌 최대 시장인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합성 신약과 CGT CDMO 사업 등에서 경쟁력을 높여왔다고 했다.

SK는 국내 SK바이오텍을 필두로 2017년 BMS가 보유한 아일랜드 공장(현 SK바이오텍 아일랜드), 이듬해 미국 앰팩 등을 인수했다. 2019년에는 한국과 미국, 유럽에 걸친 CDMO 사업 통합 운영을 위해 SK팜테코를 설립했다. 2021년 SK는 SK팜테코를 통해 프랑스의 이포스케시를 인수하며 CGT CDMO 사업에 진입했다. 2022년 미국 CGT CDMO인 CBM의 2대 주주가 됐다. SK팜테코는 현재 미국과 유럽 고객 비중이 95%다. 미국 유럽 한국에 8개 생산시설과 5개 연구개발(R&D)센터를 갖고 있다. 지난해 처음으로 매출 1조원을 돌파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 중이라고 했다.

이번 행사 개최를 계기로 SK는 바이오 분야 글로벌 교류 행사를 통해, 글로벌에서 다양한 사업 협력과 투자 기회를 지속 발굴할 계획이다.

김연태 SK 바이오투자센터장은 "이번 행사는 그간의 성장을 세계에 알리고 글로벌 협력관계를 확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미국 유럽 등 글로벌 거점을 중심으로 현지화를 통해 성장 기회를 선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