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우마 전문가 "이태원 참사 사망자 이름 공개 멈춰라"

한 인터넷 매체, 이태원 참사 사망자 명단 공개
트라우마 연구 전문가 김승성 교수 일침
김승성 교수 "명단 공개 멈췄으면 좋겠다"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공간. / 사진=뉴스1
한 인터넷 매체가 이태원 참사 사망자 명단을 공개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세월호 참사 생존자 등의 트라우마를 연구했던 보건학자가 명단 공개를 멈춰달라고 호소했다.

14일 김승섭 서울대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교수는 페이스북에 "이름 공개로 유가족들이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저는 모르겠다"고 밝혔다.이어 "만약 그 공개가 사회정의를 실천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면 그 정의가 누구의 자리에서 바라본 정의인지 한번 생각해봤으면 한다"고 적었다.

김 교수는 "이태원 참사 이후 여러 언론사 기자 분들이 인터뷰 요청했지만 응하지 못했다"며 "그날 밤 이태원을 생각하는 일만으로도 숨이 막힌다. 어떤 포스팅도 기고 글도 쓰지 못했던 것도 같은 이유"라고 말했다.

또 "유가족으로부터 모두 동의를 구하지 못한 상태에서 피해자들의 이름을 공개하겠다는 언론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멈췄으면 좋겠다"고 했다.그는 이태원 참사 유족들에게 안정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김 교수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이들에게는 그날의 기억이 어쩔 수 없이 거대한 트라우마로 남아있다"며 "평생 그 기억을 짊어지고 살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트라우마를 경험한 이들이 그 이후 시간을 견디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정"이라며 "트라우마는 전쟁이든 교통사고든 성폭행 사건이든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거대한 충격을 받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끝으로 "그 상황을 경험한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지금부터는 당신이 통제할 수 없는 원하지 않는 일은 벌어지지 않는다는 안정"이라고 덧붙였다.의사 출신인 김 교수는 세월호 참사 생존자, 천안함 사건 생존 장병, 쌍용차 해고노동자 등을 만나 연구를 진행했던 트라우마 연구 전문가다.

한편 이날 오전 한 진보 성향 온라인 매체는 이태원 참사 피해자 155명 명단을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며 "유족들께 동의를 구하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깊이 양해를 구한다"고 글을 올렸다.

김현덕 한경닷컴 기자 khd9987@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