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도의회 협치' 놓고 국힘 도의원들과 설전(종합)

'산하기관장 인선·추경예산 처리' 지연 책임 공방…'기회소득' 논쟁도

2일 열린 경기도의회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야당 도의원이 산하기관장 인선, 추가경정예산안 처리 등과 관련한 도와 도의회 간 협치 문제를 놓고 설전을 벌였다.
첫 질의에 나선 국민의힘 김현석 의원은 "산하기관장 내정자들이 전문가가 아닌 국회의원, 도의원, 민주당 지역위원장"이라며 "차기 대선 목적이 아닌지 합리적 의심이 들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지사는 "내정자들은 전문성을 인정받아 산하기관 임원추천위원회에서 추천했다"며 "산하기관장 인선에 있어서 도정 발전 외에 다른 목적이 없다"고 맞받았다.

김 의원이 "도의회 인사청문회 없이 (도지사가) 선임할 수도 있다는 얘기가 있다"고 하자 김 지사는 "도의회 여야가 청문회를 빨리 진행해 줄 것을 요청한다. 정상적인 방법으로 갔으면 한다"고 답했다.

추경예산안 처리 지연 책임을 놓고도 공방을 이어갔다.

김 의원은 "예결위 소위 심의 과정에서 209억원 버스 유류비 지원 예산이 쪽지 예산으로 들어왔다. 단초가 209억원"이라며 "도지사의 지시 사항인가"라고 따졌다.

이에 김 지사는 "추경안 제출 이후 버스노조 파업 과정에서의 요구사항이었다"며 "도의회에서 부당하면 삭감하고 타당하면 반영하면 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조직개편안과 관련해 김 의원이 "도시주택실을 경제부지사 관할로 이관했다가 4개월 만에 행정1부지사 관할로 원대 복귀시켰는데 그렇게 가벼운 부서인가"라고 다그치자 김 지사는 "도의회의 여러 의견을 반영했다. 모두 다 제 밑의 부서"라고 해명했다.

여야정협의체 구성이 차질을 빚는 것과 관련해 김 의원이 "도지사 참석 횟수를 도에서 반기별 1회로 못 박았기 때문"이라고 하자 김 지사는 "중요한 일이 있으면 간다고 했다.

횟수가 걸림돌이 되면 안 된다"고 했다.

같은 당 김일중 의원은 "예결위원인데 추경안 심의 과정에 집행부와 소통 부재가 정말 아쉽다.

김 지사가 선출직을 해보지 않아 의회에 대한 이해 부족 때문이라고 생각해도 되냐"며 "지사의 태도가 확 바뀌지 않는 한 임기 내내 어려울 것이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에 김 지사는 "정무직을 3번 하면서 일관되게 국회를 존중했다"며 "선출직 경험이 없어서 도의회를 무시한다는 것은 제 입장에서 전혀 있을 수 없다"고 맞섰다.
민선 8기 도정 슬로건인 '기회의 경기'와 '기회소득'을 놓고도 논쟁이 이어졌다.

국민의힘 김현석 의원은 "기회는 도정철학과 관통하는데 민선 7기 '공정'보다 추상적이고 모호하다는 지적이 있다"고 문제 삼았다.

그러자 김 지사는 "기회는 도지사 선거 이전에 꺼낸 화두로 오랫동안 고민한 키워드다.

대한민국의 모든 문제가 기회 불평등에서 나온다고 생각한다.

도정에서 구체화하겠다"고 했다.

김 의원이 "기회소득 지급을 위한 사회적 가치 활동 평가의 기준은 무엇인가"라고 따지자 김 지사는 "시장에서 보상받지 못하는 사회적 가치 활동에 대해 의견을 수렴해서 보상하겠다.

장애인, 문화예술인에 대해 공정한 절차를 밟아 진행하겠다"고 답했다.

이에 같은 당 방성환 의원은 "기회소득을 주장하는데 기본소득과 별개인가 대안인가.

동일어인데 명칭만 바뀐 건가. 기회소득의 개념이 잡히지 않는다"며 "가치소득이라고 하면 되는데"라고 김 의원을 거들기도 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