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과학원 "진해만 정어리 집단폐사 원인은 '산소 부족' 결론"

폐사 발생 해역서 산소부족 물덩어리 관측…병원체 등 오염 탓은 아닌듯
지난달 말부터 이어진 경남 창원시 진해만 정어리 집단폐사 현상의 원인이 '산소 부족'이라는 당국의 판단이 나왔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 2일부터 7일까지 정어리떼 폐사 원인 규명을 위해 현장조사, 생물분석, 해양환경, 적조 등 항목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결론내렸다고 18일 밝혔다.

진해만 일대에서 그동안 수거된 폐사체는 몸 길이 14∼16㎝의 정어리가 대부분이었고, 멸치와 돔류 등이 극히 일부 섞여 있었다.

또 입을 벌리고 폐사된 개체가 다수 발견됐다. 이는 산소 부족으로 폐사할 때 나타나는 특이 증상에 해당한다.

정어리떼 대량 폐사가 발생한 마산합포구 해양누리공원, 진동만 북부해역에서는 현장조사 당시 산소부족 물덩어리(빈산소수괴)가 수심 4m층부터 바닥층까지 관측됐다.

빈산소수괴는 바닷물에 녹아있는 산소농도 3㎎/L 이하인 물덩어리로, 어패류의 호흡활동을 방해한다. 수산과학원은 생물분석에서는 정어리의 대량 폐사를 일으킬 수 있는 병원체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또 해양환경 조사 결과, 해저퇴적물 내 유기물, 황화물 등 오염도는 비교적 높았지만 어류의 집단폐사를 일으킬 수준은 아니라고도 덧붙였다.

대학교수 및 연구원으로 구성된 민간 자문단 역시 수산과학원과 마찬가지로 이번 정어리 집단폐사 원인이 산소 부족으로 인한 질식사라는 데 의견을 같이한 것으로 파악됐다. 정어리는 다른 어종에 비해 산소요구량이 높은 어종이다.

미국(2011년), 인도네시아(2016년), 칠레(2022년) 등에서도 용존산소 부족으로 인한 정어리 대량 폐사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수산과학원은 이번에 우리나라에서 정어리가 대량 발생한 이유로는 남해 동부 연안 및 제주 동부 해역에서 산란된 개체의 유입 증가에 의한 것으로 추정했다.

우동식 수산과학원 원장은 "수산생물의 대량 폐사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을 파악하기 위한 어장환경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창원 진해만 일대에서는 지난달 30일을 시작으로 정어리떼 폐사체가 발견되기 시작됐다. 수거한 폐사체는 이날까지 200t을 넘긴 것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