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을 음악으로 푼 파격…'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김희경의 영화로운 예술]

스탠리 큐브릭 감독
'2001년 스페이스 오디세이'

유인원이 뼈다귀 흔드는 장면서
흘러나오는 슈트라우스 교향시

니체 동명 소설 음악으로 재탄생
'철학의 음악화'에 논란 일자
"인류 발전 음악으로 표현한 것"

큐브릭 감독, 계획했던 곡 대신
파격적인 슈트라우스 음악 삽입
‘2001년 스페이스 오디세이’ 의 한 장면.
유인원이 동물의 뼈 무덤을 발견한다. 한참 쳐다보더니 굵은 뼈다귀를 골라 든다. 조심스러웠던 손동작은 시간이 지날수록 거칠어진다. 마침내 손에 든 뼈다귀로 다른 뼈들을 내리치며 포효한다. 뼈다귀를 이용해 다른 걸 부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유인원이 도구 사용법을 깨달은 순간이다. 유인원이 뼈다귀를 허공으로 내던지는 순간, 돌연 길쭉한 우주선이 화면을 채운다.

1968년 미국에서 개봉한 SF영화 ‘2001년 스페이스 오디세이’ 속 한 장면이다. ‘샤이닝’ ‘아이즈 와이드 셧’ 등을 제작한 거장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대표작이다. 아서 클라크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이 작품은 영화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걸작으로 꼽힌다. 인류가 진화를 거쳐 우주까지 도달하는 과정을 강렬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표현해 호평받았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앞서 설명한 유인원이 뼈다귀를 흔드는 모습은 이 영화를 상징하는 장면으로 꼽힌다. 이때 나오는 배경 음악도 이 모습을 ‘세계 영화사를 빛낸 인상적인 장면’으로 끌어올리는 데 한몫했다. 지금도 많이 사랑받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란 곡이다. 독일 출신 음악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1864~1949)가 작곡한 교향시다. 교향곡은 보통 4악장으로 구성돼 있지만, 교향시는 한 악장으로만 이뤄져 있다. 하지만 그 짧은 선율 안에 서사를 담고 있다.

음악은 어둠을 상징하는 오르간의 낮은 음과 더블베이스의 ‘트레몰로’(떨리는 듯 음을 빠르게 되풀이하며 연주하는 기법)로 시작한다. 그러다 트럼펫, 팀파니 등의 연주로 이어진다. 마침내 해가 떠오르고 새로운 세상이 열리는 것 같은 짜릿함을 선사한다. 그런데 곡 제목이 왠지 익숙하다. 프리드리히 니체의 대표 저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음악으로 재탄생시킨 것. 철학을 음악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걸 이 곡을 듣고 처음 알았다.

그는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교향곡, 협주곡, 가곡, 오페라 등 다양한 장르를 섭렵한 인물로도 유명하다. <돈키호테> <맥베스> 등 문학 작품도 음악으로 만들었다. 그럼에도 슈트라우스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가 처음 나왔을 때 큰 논란이 일었다. ‘철학의 음악화’라는 파격적인 시도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다. 슈트라우스는 논란이 일자 이렇게 말했다. “나는 결코 위대한 철학자 니체의 작품을 음악으로 표현하려 한 것이 아니다. 인류가 그 기원에서부터 여러 단계를 거쳐 발전해가는 모습을 음악이라는 수단으로 표현하려고 했다.”큐브릭 감독은 슈트라우스의 이런 의도를 정확히 파악했던 것 같다. 애초 영화에 넣으려고 한 음악은 이 곡이 아니었다. 음악 감독 알렉스 노스가 만든 다른 음악을 쓸 계획이었다. 하지만 큐브릭 감독은 보다 파격적인 슈트라우스의 곡이 제격이라고 판단했다. 큐브릭 감독은 결국 ‘과감한 도전’을 선택했다.

장르를 불문하고 오랜 사랑을 받는 명작들에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예술가의 직관과 용기도 그중 하나다. 상당수 명작은 새로운 도전에 대한 논란과 각계의 반발을 무릅쓰고 돌파한 결과다. 타인의 까칠한 시선과 대중의 깐깐한 평가는 예술가라면 피할 수 없는 숙명이다. 하지만 대중의 눈높이를 맞추는 데만 급급한 작품 중에서 명작이 나올 리 없다. 예술가들이 각자 믿는 가치와 신념을 밀어붙일 때, 새 시대를 여는 예술이 나온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