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외교부, 33주년 앞둔 톈안먼사태에 "정치풍파…이미 결론"

대변인 브리핑서 공산당 일당 집권체제 당위성 강변
중국 외교부는 오는 4일로 33주년을 맞이하는 톈안먼(天安門) 사태에 대해 "1980년대말 발생한 그 정치 풍파에 대해 중국 정부는 이미 명확한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일 정례 브리핑에서 '톈안먼 사태 희생자 가족의 진상조사, 사과, 배상 요구를 어떻게 평가하며, 어떻게 해결할 것이냐'는 외신기자 질문에 이같이 짧게 답했다.

이와 별개로 자오 대변인은 앤서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달 26일 대 중국 연설에서 미중간 갈등은 양국 국민 간의 갈등이 아니라 양국 정부와 체제 사이의 갈등이라고 언급한데 대한 논평을 요구받자 중국 공산당의 정통성에 대해 길게 강변했다.

자오 대변인은 "당(공산당)의 영도적 지위는 역사의 선택이자 인민의 선택이며, 중국 헌법이 확인한 것"이라며 "중국의 발전은 중국 공산당의 영도를 떠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 중국의 빈곤 탈피, 장기적 사회 안정을 공산당의 대표적 성과로 거론하며 "중국 공산당 창당 초기 당원이 50여 명에 불과했는데, 100여 년후 이미 9천600만 이상의 당원을 가진 세계 최대의 집권당이 됐다"고 부연했다.

공산당 집권의 당위성과 성과를 강조한 자오 대변인 발언은 톈안먼 사태 관련 질문에 대한 답은 아니었지만 청년들이 당의 절대적 권위에 맞서다 스러졌던 톈안먼 사태 33주년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시점이어서 눈길을 끌었다.

1989년 6월 발생한 톈안먼 사태는 반 부패와 개혁 등을 요구한 대학생 중심의 시민 시위대가 중국 정규군인 인민해방군에 의해 유혈 진압되면서 많은 사상자를 낳은 일을 칭한다. 전격적인 유혈 진압이 이뤄진 날이 6월4일이어서 '6·4'로 불리기도 하는데, 중국에서는 이 일에 대한 공적인 논의 자체가 금기시돼있다.

작년 11월 중국 공산당이 채택한 제3차 역사결의(당의 100년 분투의 중대 성취와 역사 경험에 관한 중국공산당 중앙의 결의)는 이 사태를 '정치 풍파'로 기술했다.

결의는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 소련이 해체되고 동유럽이 격변했다"며 "국제사회 반(反) 공산주의·반 사회주의 적대 세력의 지지와 선동으로 인해 국제적인 큰 기류와 국내의 작은 기류는 1989년 봄에서 여름으로 가는 시기에 우리나라에 엄중한 정치 풍파를 초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결의는 시위 진압에 대해 "당과 정부는 인민을 의지해 동란(動亂)에 선명하게 반대하는 것을 기치로 해서 사회주의 국가 정권과 인민의 근본 이익을 수호했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