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폭탄 1개 제조에 거의 충분한 농축우라늄 보유"(종합)

IAEA 보고서 공개…"미신고 핵 물질 관련해 신뢰할 만한 해명 내놓지 못해"

이란이 핵폭탄 1개를 제조하는 데 거의 충분한 양의 농축 우라늄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국 내 핵 물질 조사와 관련해 신뢰할 만한 해명도 내놓지 않고 있다는 내용을 담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보고서가 30일(현지시간) 공개됐다. 미 경제지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IAEA는 이날 보고서에서 이란이 비축한 순도 60%의 우라늄이 43.3㎏에 달해 3개월 전보다 10㎏ 가까이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IAEA의 한 소식통은 이와 관련, 이란의 이 같은 순도 60%의 우라늄 비축량은 핵 무기 1기 제조에 필요한 핵물질 분량을 웃도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IAEA는 또한 이 보고서에서 지난 15일을 기준으로 순도와 무관한 이란의 농축 우라늄 비축량이 총 3천809.3㎏에 달한다며, 이는 2015년 서방과 이란이 체결한 핵 합의의 제한선보다 18배 많은 것이라고 밝혔다. IAEA는 이날 발간된 또 다른 보고서에서는 이란이 자국 내 세 곳에서 앞서 탐지된 미신고 핵물질과 관련해 명확한 해명도 제시하지 않고 있다면서 불신을 드러냈다.

WSJ은 이런 내용을 담은 두 건의 IAEA 보고서를 회원국들이 회람하고 있다며, 이들 보고서로 이란의 핵 활동이나 미국이 2018년 일방적으로 중단한 이란 핵 협상 복원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고 논평했다.

WSJ은 또한 두 건의 보고서는 내달로 예정된 IAEA 이사회에서의 격렬한 논쟁을 예고하는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미국은 이란이 핵 활동을 중지하는 대신 이란에 대한 서방국들의 제재를 해제하기로 2015년 이란과 합의했으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지 2년 만인 2018년 일방적으로 이를 파기했다.

이후 이란은 우라늄 순도를 핵무기급에 가까운 60%까지 높이는 등 핵 활동을 재개했고, 자국 내에서 발견되는 핵 물질에 대한 조사에 협조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이란 내 핵 물질이 몇 년 전 이뤄진 이란의 핵무기 생산 활동과 연관된 것으로 의심한다. 이란은 자국 내 핵 활동에 대한 IAEA의 조사가 내달 종료돼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핵 협상 복원 노력이 복잡해질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란이 자국 내 핵 물질에 관해 충분히 설명하지 않고 있다고 IAEA가 밝히는 상황에서 미국과 유럽은 사찰 종료를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WSJ은 내다봤다.

미국의 조 바이든 행정부는 교착 상태에 빠진 이란 핵 협상이 재개되기를 바라지만, IAEA의 이란 핵 물질 조사 활동이 중단되는 것은 원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은 핵무기 개발을 추구하지 않으며, 원자력 발전과 연구 목적으로 농축 우라늄을 제조하고 있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