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X에 한참 뒤처진 보잉, 이번에는 추격 발판 마련할까

유인 캡슐 '스타라이너' 2차 무인 시험비행 19일 발사…올해 안 유인비행 목표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우주비행사를 실어나를 보잉사의 유인 캡슐 'CST-100 스타라이너'(Starliner)가 오는 19일 2차 무인 시험비행에 나선다. 보잉은 스페이스X와 함께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ISS 우주비행사 수송 계약을 따냈지만 우주선 개발이 지연되면서 무인 시험비행 단계에서 발목이 잡혀있는 상태다.

스페이스X는 이미 네 번째 유인 수송 임무인 '크루-4 미션'까지 진행하며 독주 중이다.

UPI통신 등에 따르면 보잉사 관계자는 3일 전화회의를 통해 스타라이너가 '궤도 시험비행-2'(OFT-2)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19일 오후 6시 54분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의 우주군기지 제41 우주발사장에서 발사될 것이라고 밝혔다. 보잉은 OFT-2를 거쳐 유인 시험비행까지 무사히 마쳐야 정식으로 우주비행사 수송에 나설 수 있다.

유인 시험비행은 이번 무인 시험비행이 순조롭게 마무리되면 올해 안에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보잉은 지난 2019년 12월에 시도한 1차 무인 시험비행에서 소프트웨어 오류로 우주선이 ISS에 도킹하지 못하고 돌아오는 바람에 실패한 뒤 NASA가 요구하는 80개 항의 개선책을 이행하고 여러 가지 기술적 오류를 수정하느라 2차 시험비행이 계속 늦춰져 왔다. 1차 시도 실패 이후 2년 4개월여만에 이뤄지는 이번 OFT-2도 지난해 8월 발사될 예정이었지만 아틀라스5호 로켓에 탑재된 상태에서 추진시스템 밸브 고장이 확인돼 격납고로 옮겨지며 무산됐다.

보잉과 경쟁을 벌여온 스페이스X는 2019년 3월 1차 시도에서 무인 시험비행에 성공한 데 이어 이듬해 5월 유인 시험비행도 단번에 성공하며 NASA의 비행 인증을 받았다.

스페이스X가 우주정거장 유인 수송에 나서면서 NASA는 우주왕복선 프로그램 종료 이후 러시아 측에 1인당 최대 8천600만 달러(1천84억원) 씩 지불하고 소유스 캡슐의 좌석을 이용하던 시대를 마감했다. NASA는 지난 2014년 지구 저궤도 유인 수송을 민간업체에 맡기는 '민간 승무원 프로그램'을 마련하면서 보잉 및 스페이스X와 각각 42억 달러(5조2천991억원), 26억 달러(3조6천589억원)계약을 체결해 복수 경쟁체제를 유도해 왔다.

하지만 보잉사가 뒤처지면서 현재는 스페이스X가 NASA 우주비행사 뿐만 아니라 민간 우주 관광객까지 유인 수송을 도맡다시피 하는 상황이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