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침공] "프랑스 대선 '극우' 르펜되면 우크라도 타격"

친푸틴 성향으로 평가…EU·나토와 느슨한 관계 주장
러시아 압박하는 서방 '단일대오' 약해질 수도
열흘 앞으로 다가온 프랑스 대선 결선투표의 여파가 우크라이나의 동부 전선에까지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4일(현지시간) AP통신은 이번 대선에서 극우 성향 마린 르펜 국민연합(RN) 대표가 당선되면 우크라이나가 서방에 무기를 지원받기 어려워질 뿐 아니라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단일대오도 무너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대외정책, 러시아와 관계, 우크라이나 지원 방침 등에 대한 르펜 대표의 시각이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과는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우크라이나에 1억유로(약 1천300억원) 상당을 지원한 마크롱 대통령과 달리 르펜 대표는 이에 신중한 입장이다. 르펜 대표는 전날 기자회견에서 군사 정보 지원은 계속할 테지만 확전 위험이 있어 직접 무기를 보내는 데는 '분별 있게' 접근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의 당선이 EU가 대러 제재의 수위를 더 높이지 못하는 결과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AP통신은 전망했다.

올해 상반기 EU 의장국이자 역내 경제 대국 프랑스는 EU 의사결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만큼 이번 대선 결과가 EU 제재 수위에도 투영될 것으로 보인다. 르펜 대표는 러시아산 석탄까지 금수한 마당에 EU의 몇 안 되는 남은 수로 꼽히는 석유, 천연가스 수입 제재에 반대한다.

2017년 프랑스 대선을 앞두고 모스크바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난 그는 당선 시 크림반도 합병 이후 러시아에 부과된 제재를 해제하겠다고도 했다.
무엇보다도 그는 크림반도를 아예 러시아 영토로 승인해야 한다고 주장했을 정도로 대표적 친(親) 푸틴 정치인으로 꼽힌다. 다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후 대선 운동 과정에서 푸틴 대통령을 향해 '권위주의자'라면서 거리를 두는 모습을 보이긴 했다.

그러나 대선 1차 투표 뒤 13일 이번 전쟁이 끝나고 평화조약이 마련되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 러시아 간 전략적 관계 회복을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과 러시아가 너무 가까워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르펜 대표가 마크롱 대통령보다 EU나 나토와 같은 국제 동맹에 회의적인 태도를 드러낸 점도 우크라이나에는 악재로 꼽힌다.

취임 이후 줄곧 국방·경제 분야서 역내 통합·협력을 강조하는 마크롱 대통령은 최근에도 나토의 동쪽 끝자락인 동유럽에 병력을 추가 배치했다.

그러나 르펜 대표는 13일 나토의 상호방어 조약은 존중하지만 당선 시 나토 통합 군 지휘 체계에서는 빠지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프랑스가 EU에 남긴 하겠지만 EU가 현재보다 느슨한 구조가 되길 바란다고도 말했다.

이런 르펜 대표의 구상이 현실이 되면 EU와 나토를 통해 서방이 러시아에 가하던 군사·경제적 압박은 프랑스의 부재로 약해질 수 있다.

개전 후 고전한 러시아가 최근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에 전력을 집중하면서 조만간 이 지역 영유권을 둘러싼 치열한 전투가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이 13일 8억달러(약 9천800억원) 규모 추가 군사 원조를 제공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서방의 무기 지원이 '돈바스 결전' 전세를 결정할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돈바스에서 '결전'이 임박한 상황에서 24일 프랑스 대선 결과에 전 세계가 주목하는 이유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