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경의 7과 3의 예술] 단 한 명의 음악가를 선택한다면, 바흐

김희경 문화스포츠부 기자
“바흐를 공부하라. 거기서 모든 것을 찾을 수 있다.”

독일 출신의 음악가 요하네스 브람스가 한 얘기다. 진정한 음악을 하기 위해선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1685~1750·사진)로 돌아가 그의 작품들을 제대로 연구해야 한다는 의미다. 거장이 꼽은 거장이라니, 말의 무게가 더욱 묵직하게 다가온다.바흐는 ‘음악가들의 음악가’라고 할 수 있다. 브람스뿐만 아니라 하이든부터 모차르트, 베토벤, 20세기 천재 피아니스트 글렌 굴드까지 모두 바흐의 작품을 토양으로 삼고 자신만의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 오늘날 음악가들에게도 바흐는 반드시 거쳐야 하고, 넘어야 할 커다란 산이다. 그의 작품은 언젠가 꼭 완벽히 소화하고 싶은 ‘음악의 본질’ 자체로 인식되고 있다.

절제로 만들어낸 우아함

그런데 ‘무반주 첼로 모음곡’ ‘골드베르크 변주곡’ 등 바흐의 음악을 듣고 나서 다소 ‘단조롭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실제 그의 작품에서 격정적이거나 화려한 선율은 찾아보기 힘들다. 하지만 바흐 음악의 진가는 여기서 나온다. 특유의 절제미, 그 안에서 꽃피는 정갈하면서도 우아한 선율. 이 덕분에 반복해 들어도 질리지 않고, 더 큰 감동을 느끼게 된다. 그가 ‘음악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이유도 이 때문이 아닐까.바흐는 음악인이 될 수밖에 없는 운명을 타고났던 것 같다. 그는 무려 7대에 걸쳐 80명이 넘는 음악가를 배출한 가문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아쉽게도 풍족하고 여유로운 환경에서 음악 공부를 할 순 없었다. 아홉 살 때 어머니가 갑자기 돌아가셨고, 이듬해엔 아버지마저 세상을 떠났다. 다행히 맏형의 도움을 받아 음악 공부를 이어갈 순 있었지만, 열여덟 살에 독립해 직접 돈을 벌어야 했다.

그는 성보니파체 교회의 오르가니스트로 일했다. 당시엔 교회 음악이 신도들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교회의 흥망성쇠는 음악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할 정도였다. 그 핵심이 교회 오르가니스트였다. 작곡을 비롯해 교회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일을 결정하고 총괄했다. 생계를 위해 구한 직장이긴 했지만 바흐는 교회에서 일하며 음악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신앙심도 투철했던 그는 교회음악을 열심히 연주하고 만들었다. 그러면서 자신만의 음악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퇴근 후 매일 밤을 지새우며 다른 음악가들의 악보를 필사하고, 자신의 곡도 만들었다. 바흐가 생전에 만든 작품은 1200여 곡에 달한다. 역사에 길이 남을 거장은 끊임없는 성실함과 부단한 노력으로 탄생하는 법이다.재밌는 점은 ‘음악의 아버지’인 바흐가 실제 많은 아이들의 아버지이기도 했다는 사실이다. 전처가 세상을 일찍 떠나 바흐는 결혼을 두 번 했고, 두 부인 사이에서 20명에 달하는 아이가 태어났다. 그의 재능을 고스란히 닮아 뛰어난 음악가가 된 아이들도 있었다. 심지어 멘델스존이 ‘마태 수난곡’을 무대에 올려 바흐의 이름을 세상에 다시 알리기 전까지는 아들들이 더 유명했다.

대위법을 집대성하다

바흐는 ‘대위법’을 발전시킨 인물로 유명하다. 대위법은 하나의 선율로만 연주하던 데서 나아가 두 개 이상의 선율을 동시에 연주하는 것을 이른다. 그는 정교하고 촘촘하게 음을 쌓아 올려 여러 악기로 협주하는 듯한 효과를 만들어냈다. 바흐의 마지막 작품 ‘푸가의 기법’은 그만의 대위법을 집대성한 걸작이라고 할 수 있다.

악기가 가진 고유의 매력을 발견하고 알리기도 했다. 그가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쓸 당시, 첼로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별로 높지 않았다. 다른 고음 악기의 보조수단 정도로만 여겼다. 하지만 바흐는 이 곡을 통해 첼로 역시 훌륭한 독주악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널리 알렸다.바흐는 나이가 들어 시력이 많이 나빠진 상태에서도 꾸준히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갈수록 시력이 악화됐지만 ‘푸가의 기법’을 완성하기 위해 멈추지 않았다. 하지만 뇌출혈로 시력을 완전히 잃으며 이 작품은 미완성으로 남게 됐다.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음악에 대한 열정을 놓지 않았던 바흐. 평생 그의 음악에 천착했던 굴드는 이렇게 말했다. “아무도 없는 사막에서 여생을 보내야 하는데 단 한 작곡가만의 음악을 듣거나 연주해야 한다면, 틀림없이 바흐를 선택하겠다.” 오늘날 전 세계의 수많은 음악가도 굴드와 동일한 선택을 하지 않을까.
◆‘7과 3의 예술’에서 7과 3은 도레미파솔라시 ‘7계음’, 빨강 초록 파랑의 ‘빛의 3원색’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큰 감동을 선사하는 예술가들의 삶과 철학을 살펴봅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