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로핏, 뇌 영상 AI 분석 솔루션 국내 의료기기 인증 획득

알츠하이머 바이오마커 자동 수치화
뉴로핏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뇌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 '뉴로핏 스케일 펫'에 대한 2등급 의료기기 인증을 획득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제품은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영상과 자기공명영상(MRI)을 결합해 알츠하이머병 생체표지자(바이오마커)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자동 뇌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다. 기반 기술인 '뉴로핏 세그엔진'을 활용해 MRI 뇌 영상을 자동으로 구획화한다. 구획화한 MRI를 PET 영상과 결합하면 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인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 침착에 대한 수치화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미국 국립노화연구소와 알츠하이머병협회는 뇌 촬영 영상에서 관찰이 가능한 아밀로이드베타 타우 신경퇴행 바이오마커를 활용해 치매를 정의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 발병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에는 의사나 뇌 영상 전문의가 PET 영상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진단을 실시했다. 알츠하이머병 확진 기준인 아밀로이드베타의 뇌 피질 침착을 판단하기 모호한 경우가 있고, 기존 분석 솔루션을 사용하면 수동 작업이 수반돼 영상 분석에만 10시간 이상이 소요되기도 한다고 했다.

뉴로핏 스케일 펫은 인공지능(AI) 기반의 뇌 영상 분석 솔루션이다. PET 영상과 MRI를 입력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15분 이내에 뇌 세부 영역별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 침착에 대한 수치화가 가능하다. 뉴로핏은 뉴로핏 스케일 펫과 퇴행성 뇌 질환 진단 안내 솔루션 '뉴로핏 아쿠아'를 고도화해 향후 치매 및 알츠하이머병 진단의 글로벌 표준을 정립한다는 계획이다.뉴로핏은 2020년 정부가 추진 중인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과 공동으로 치매 영상 진단 기술 고도화 과제를 수행 중이다. 5년 간 15억원을 지원받는 이 과제를 통해 '아밀로이드(A)-타우(T)-신경퇴행(N)-혈관성 신경병리(V)'를 이용한 영상 기반 치매 진단 및 예후 예측 기술 고도화를 진행하고 있다.

빈준길 뉴로핏 대표는 "아두카누맙이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 축적을 억제하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개발되는 등 아밀로이드베타 침착 관찰이 가능한 PET 영상 분석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뉴로핏 스케일 펫은 바이오마커를 정량화된 수치로 확인할 수 있어, 알츠하이머병 진단뿐 아니라 신약 개발 등 다양한 연구에도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뉴로핏 스케일 펫 미국 출시를 위해 조만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인증 신청 서류를 제출할 예정"이라며 "늦어도 내년 상반기에는 FDA 인증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한민수 기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