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무인매장하면 인터마인즈 떠오르게 만들겁니다"

라이징 AI 스타트업인터마인즈

AI가 고객행동 시각적 인지
구매와 결제 자동으로 처리
한국판 ‘아마존고’ 성장 목표
인터마인즈는 인공지능(AI) 기술로 유통업계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스타트업이다. 딥러닝, 컴퓨터 비전, 센서 기술 등을 활용해 일명 ‘스마트 리테일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김종진 인터마인즈 대표는 2016년에 회사를 창업했다. 그는 LG애드, 롯데백화점에서 광고와 유통 분야에서 근무했다. 보광그룹의 홍보 계열사 인터옥스 대표도 맡았다. 인터마인즈의 모기업인 마인즈랩의 초대 최고경영자(CEO)도 역임했다. 마인즈랩은 음성인식 AI 분야 기업이다.
인터마인즈는 소비자가 필요한 상품을 어느 곳에서나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AI로 구현하기 위해 설립됐다. 딥러닝 기술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기술이 결합한 무인 스토어 상용화가 목표다. 구체적으로 미국의 아마존고 같은 서비스를 내놓는 것이다. 아마존고는 미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아마존이 운영하는 세계 최초의 무인 가게다. 계산대와 계산원 대신 AI, 머신러닝 등 첨단 기술이 결제 업무를 처리한다.
마인즈랩은 2017년 롯데정보통신과 각종 영상을 분석해 상품 인식이 가능한 스마트 카트를 개발했다. 이듬해 무인 사물인터넷(IoT) 기반 점포도 구축했다. 마인즈랩은 같은 해 농협의 통합 무인 매장 점포와 솔루션도 선보였다. 2019년부터는 이마트와 스마트 결제 키오스크 등을 개발하고 있다.
김종진 인터마인즈 대표
인터마인즈의 AI 기술은 정지된 이미지와 과거 데이터를 기억해 의미 있는 동작을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고도화된 동영상 인식 엔진도 개발해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도 있다. 무인 편의점 등에 설치된 카메라에 담긴 고객의 움직임을 AI로 자동 분석하는 ‘스마트 비전(Vision)’ 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스마트 비전 기술을 활용해 냉장고에서 물건을 꺼내기만 해도 카드 결제까지 가능한 스마트 냉장고 ‘도어 팝(Door Pop)’을 개발하기도 했다. 인터마인즈는 AI 기술력을 인정받아 이마트, 신세계아이앤씨, 스톤브릿지벤처스 등으로부터 50억원 이상을 투자받았다.
인터마인즈는 지난해 12월 식음료 구독 서비스 스타트업 워커스하이와 AI 무인 판매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워커스하이는 롯데칠성음료의 사내 벤처로 출발한 스타트업이다. 두 업체는 AI 기반의 자동화 판매 장치를 개발할 계획이다. 김 대표는 “비대면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는 유통 시장에서 가장 혁신적인 쇼핑 채널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김주완 기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