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층 57% "TV토론 보고 지지 결정"…'박빙 판세' 최대 승부처로

李·尹 오차범위 내 접전…막판 남은 변수는

야권 단일화 탄력받나
尹·安측, 공식적으로 부인하지만
원희룡 "14일 전 해야" 불씨 살려

'배우자 공방' 어디까지
"김혜경 수사" vs "김건희 검증"
여야 모두 노출 최소화로 대응

확진자 투표 제한 논란
"사전투표 연장" vs "본투표 연장"
여야, 유불리 따지며 기싸움 치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5일 경남 창원 현대로템 공장에서 경남지역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지난 5일 제주 서귀포 강정마을에서 연설하고 있다. 뉴스1
20대 대선이 7일을 기점으로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간 박빙 대결이 펼쳐지면서 향후 대선 판을 뒤흔들 변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TV토론과 후보 단일화, 배우자 리스크,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투표 제한 등이 최대 변수로 꼽힌다.

TV토론 중요성 부각

코로나19로 현장 유세가 제한되면서 TV토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6일 서던포스트가 발표한 여론조사(2월 4~5일, 표본오차 ±3.1%포인트)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14.6%가 TV토론 이후 지지 후보를 변경하겠다고 응답했다. 오차 범위 내 접전이 펼쳐지는 상황이어서 TV토론을 통한 막판 뒤집기도 가능하다. TV토론 이후에도 기존 후보를 계속 지지하겠다는 응답자는 75.5%였다. 한국리서치의 여론조사 결과(1월 27~29일, 표본오차 ±3.1%포인트)에서도 ‘TV토론 결과에 따라 지지 후보를 바꿀 수 있다’는 응답이 31.6%에 달했다. 특히 지지 후보가 없는 응답자(부동층) 중 절반 이상(56.8%)이 TV토론을 보고 지지 후보를 결정하겠다고 했다.

지난 3일 열린 후보 TV토론 시청률이 39%(지상파 3사 합산)에 이를 정도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자 각 정당은 TV토론을 두고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이날 열린 4개 정당 TV토론 실무자 협상에서 오는 8일로 예상됐던 4자 TV토론이 사실상 무산됐다. 협상 과정에서 국민의힘은 주최 측과 주관사의 정치적 편향을 지적하면서 룰 변경을 요구했지만 나머지 3개 정당이 모두 반대했다.

고용진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수석대변인은 “윤 후보가 지금까지 보여준 온갖 생떼와 억지를 생각하면, ‘윤결렬’이라는 세간의 비난이 결코 과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기자협회에서 주최하고 특정 방송사가 주관하는 이번 4인 후보 초청 합동토론회는 토론의 기본 전제인 공정성이 담보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후보 단일화…安 거취 주목

1997년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을 필두로 2002년 노무현·정몽준, 2012년 문재인·안철수 등 역대 대선 때마다 후보 단일화 시도는 판을 흔드는 핵심 이슈로 등장했다. 이번 대선은 여야 후보 간 지지율 격차가 접전 양상을 띠고 있어 선두권 후보들과 제3지대 후보들의 합종연횡 가능성도 주목할 대목이다. 특히 3위 후보인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윤 후보와 단일화에 나설 것인지가 핵심 변수다. 양당 모두 “단일화는 없다”는 강경한 입장이지만 가능성을 완전히 접은 것은 아닌 모습이다.

원희룡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정책본부장은 6일 언론 인터뷰에서 “초박빙 대선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안 후보와 단일화해야 한다”며 “대선 후보 등록일인 14일 전에 쉬운 단일화로 가야 한다”고 했다. 최진석 국민의당 상임선거대책위원장도 개인 의견임을 전제로 “국민 여론이 높다면 (단일화를) 생각해볼 수 있다”고 했다.

다만 대선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각 당내 반대파를 설득하고, 양측 모두를 만족시키는 단일화 ‘룰’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이 후보 측도 최근 박스권 지지율 탈피를 위해 안 후보와의 공동정부 구성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나 김동연 새로운물결 후보와의 단일화 가능성도 점쳐진다.

배우자 리스크 여전

여야 후보들의 ‘배우자 리스크’가 선거 막판 네거티브 폭풍의 핵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 후보의 배우자인 김혜경 씨는 최근 ‘황제 의전’을 넘어 ‘갑질 의혹’까지 제기돼 논란의 중심에 섰다. 국민의힘 측은 “김혜경 씨에게 제기된 ‘대리 처방’, ‘법인카드 유용’ 등의 의혹은 의료법 위반, 공금 횡령 등 불법에 해당하는 것”이라며 “대선 이후까지 수사를 요구할 것”이라고 했다.

윤 후보의 배우자인 김건희 씨 역시 혹독한 검증대에 올라 있다. 겸임교수 채용 당시 경력 부풀리기 의혹에 이어 무속 논란 등이 이어지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여야 모두 후보 배우자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리스크를 줄여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로나19 확진자 투표 제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확진자 투표 제한 여부도 대선의 변수로 꼽힌다. 현재론 사전투표 마감일(5일) 이후 확진 판정을 받은 유권자는 투표권을 행사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지난 총선 때는 하루 확진자가 1000여 명에 불과했지만 오는 3월에는 오미크론 확산으로 하루 10여 만 명의 확진자가 나올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민주당은 사전투표 연장을 주장하는 반면 국민의힘에서는 본투표 연장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선관위는 해당 내용을 검토해본다는 입장이다. 확진자가 더 급증할 경우 노인층의 투표 기피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도 변수다.

대선 전에 정부에서 코로나19를 독감처럼 관리하는 방역 체계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도 여당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동훈 기자 leedh@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