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년恨' 여순사건 진상규명위 출범…진상규명·희생자 신고접수

김총리 "역사 소용돌이에 희생된 희생자께 사과의 마음"

한국 현대사의 비극인 여순·순천사건(여순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고 피해자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한 국무총리 소속 '여수·순천 10·19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가 21일 출범했다. 이는 작년 7월 공포된 '여수·순천 10·19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이날부터 시행됨에 따른 것이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위원회 첫 회의를 주재했다.

그는 회의에서 "해방공간에서의 첨예한 좌우 대립으로 무고한 민간인들이 희생된 여순사건은 우리 현대사에 치유하기 어려운 깊은 상처로 남았다"며 "역사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희생된 여순사건 희생자와 유가족에게 사과의 마음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어 "진정한 용서와 화해, 국민통합은 진실규명과 이에 바탕을 둔 상호 이해 속에서만 가능하다"며 "여순사건의 진상 규명과 희생자 명예 회복을 통해 희생자와 유가족에게는 위로를, 후대에는 역사의 진실을 안겨달라"고 위원들에게 당부했다.
총 15명으로 구성된 위원회의 부위원장은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이 맡는다.

당연직 위원은 박범계 법무부 장관, 서욱 국방부 장관, 이강섭 법제처장, 김영록 전남지사 등 4명이다. 또 2년 임기의 민간 위촉직 위원은 서장수 여순사건 여수유족회 회장 등 9명이다.

전해철 장관을 비롯한 위원들은 회의를 마친 뒤 서울 중구에 마련된 위원회 사무실을 찾아 현판식을 했다.

전 장관은 "뒤늦게나마 여순사건 희생자들의 희생에 대한 우리 사회의 진정성 있는 해결 노력이 시작되었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며 "행정안전부는 위원회, 실무위원회 및 전라남도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진상규명 업무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앞으로 전라남도 지사 소속으로 설치된 실무위원회와 유기적으로 협력하면서 여순사건의 진상규명과 희생자·유족 결정, 위령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실무위원회는 이날부터 1년간 진상규명 및 희생자·유족 심사를 접수한다.

진상규명 신고의 경우 위원회의 진상규명 조사 개시 결정 이후 2년간 진행되는 진상규명 조사의 기초자료가 된다.

희생자·유족 결정은 실무위원회의 사실조사와 위원회의 희생자·유족 여부 심사를 통해 이뤄지며, 희생자로 결정된 사람은 필요에 따라 의료지원금과 생활지원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여순사건은 1948년 10월 19일 국방경비대 14연대 군인들이 제주 4·3사건 진압 출동 명령을 거부하면서 발생했으며 진압 과정에서 여수·순천·구례· 광양·보성·고흥 등에서 무고한 시민들이 무차별적으로 희생됐다.
/연합뉴스

핫이슈